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벌레 발생 원인 및 퇴치방법 등
  • 작성자 김정아
  • 작성일 2025.07.30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원룸거주자고 한달전부터 자꾸 이상한 벌레가 출몰합니다. 생긴건 개미같기도하고 더듬이땜에 바퀴인가 싶기도 한데

개미나 초파리같은 재질? 이에요

냉장고, 캐비넷, 책상 근처에서 출몰되고요(냉장고-캐비넷-책상 몰려있음)

검색해보니 톱머리가슴벌레 라고 하는거 같은데 맞을까요?

집에 곡류는 햇반 두어개, 파스타 생면이 캐비넷에 보관되어있고 오트밀이 냉장고에 보관되어 있어요.

집에 먹을게 엄청 많은 편도 아닙니다. 햇반, 컵라면, 파스타생면 몇개, 1인용 소스 새거 두어개씩 있어요 

한번은 초콜렛 까두고 봉해놨던거 안에 바글바글 있어서 버린적 있고

이후 비오킬이라는 약품을 사서

캐비넷이랑 책상 뒤쪽에 뿌려놨더니 일주일에 한번씩 방바닥에 죽은 시체 한마리씩 발견됩니다.

집에 먹을만한걸 다 치워야될까요? 집에 습기가 잘 안빠지긴 한데 벽지나 방바닥 등 곰팡이가 슬은 곳은 없습니다.

비오킬을 더 뿌려야될까요? 아님 세스코 출동하면 몇번만에 해결될까요?

 

 

안녕하세요. 세스코입니다.

사진으로 명확하지 않으나 저장식품해충에 속하는 종류 중 머리대장과, 거저리과의 한 곳에 속하는 곤충으로 추정됩니다.
위와 같은 저장식품해충은 쌀을 포함한 곡물 류를 비롯해
1차 가공식품 류인 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땅콩, 비스킷, 코코아, 커피, 시리얼,
건과류(바나나, 파인애플 등 과일 말린 것) 당근, 말린 꽃, 허브, 땅콩, 후추, 씨앗류, 애완동물 사료 등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실온에 방치된 모든 먹거리에서 발생 가능합니다.
따라서 실내 보관 중인 모든 먹거리에 대한 점검 및 선별 조치 후 냉동/냉장 보관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장식품해충이 쌀 등의 곡물류 및 1차 가공식품류에서 주로 발생을 하지만
상기 종류의 경우에는 곡물류가 아닌 곳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성충과 유충 모두 동물의 시체나 건어물, 모피, 햄, 베이컨, 고기, 치즈, 
곤충/가죽/깃털/뿔/털, 동물 표본 등을 주 먹이원으로 하기 때문에 주방이 아닌 방에서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습기 많은 환경이나 오래된 목재, 원목가구, 장판, 몰딩 틈 등에서 발생되는 곰팡이균을 먹고 번식하기도 하기때문에 보관된 식품이 없는 경우 . 
문제 장소를 찾아 제거하고, 주변 모서리 등에 은신하고 있는 애벌레나 번데기를 최대한 제거해
성충이 되는 빈도를 최소화하며 성충이 목격 시 추가 번식이 없도록 신속히 제거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일 202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