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혹시 집에 바퀴벌레가 알을 깐 걸까요??
  • 작성자 최지인
  • 작성일 2023.07.10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안녕하세요ㅠㅠ 

저는 서울 노원구에 거주중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지난 4월 중순경, 일본바퀴 성체가 외부유입으로 들어와 한 번 방역을 진행한 뒤에, 

여름 장마철이 되어도 초파리만 보였었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어제 저녁 방 바닥에서 작은 벌레 한마리를 잡았었는데, 이때는 바퀴벌레인지 긴가민가해서 그냥 벌레인가보다 하고 넘겼습니다. 

근데 오늘 오전에 일어나서 방에 불을 키니, 방 천장에 기어다니는 검은 벌레 4마리를 발견했습니다. 

자세히 다시 보니 새끼 바퀴벌레인 것 같더라고요. 

 

새끼 맞나요???

집에 알깐걸까요??

 

 

해상도가 낮아 정확한 확인은 어려우나 바퀴 약충으로 사료됩니다.
한두 마리 목격된 거라면 주변에서 혹은 외부 물품 반입 시 유입되거나 틈새로 침입되었을 수 있으니

바퀴끈끈이를 해충이 목격된 장소, 주방 지역 등 실내 곳곳에 설치해 해충의 추가 포획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충이 다수 목격된다면 아래와 같이 관리해주시기 바랍니다.  

 

바퀴는 먹이나 서식처를 찾아 이동하는 중 건물의 각종 틈새를 통해 침입이 발생하게 되며
화장실, 출입문, 창문 틈새, 배관 틈새 등이 주요 침입 경로가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틈새를 얼마나 많이 찾아내고, 보완을 충실히 하느냐에 따라 바퀴의 침입을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화장실의 경우
천정 몰딩 틈새, 환풍기나 창문 틈새, 하수 배관(욕조, 세면대 포함) 등으로 침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정 틈새는 실리콘으로, 환풍기나 창문 틈새는 모기장 또는 철망, 실리콘 등으로 추가 보완하며
하수 배관의 경우에는 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마개를 닫아두고
바닥의 트랩은 스타킹을 씌워 덮어 두면 효과 좋습니다. 

출입문의 경우에는
문이 닫혀 있더라도 닫혀 있을 뿐이지, 밀폐가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니 문풍지를 덧대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바퀴벌레의 침입은
외부와 연결되는 장소들은 문풍지, 실리콘, 백시멘트, 함석판, 장판, 모기장, 스타킹(하수구 커버 씌우는 용도) 등으로
적절히 보완한다면 바퀴의 침입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겁니다. 

보완이후라도 침입이 의심 되는 장소에는
바퀴끈끈이를 설치해 이미 들어온 바퀴와 추가 침입하는 바퀴를 신속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시고 
바퀴벌레는 외부에서도 침입하지만 택배물품 등 외부에서 반입되는 물품에 의해서도 침입하니
항상 관리에 만전을 기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일 202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