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고양시 덕양구
  • 작성자 심신용
  • 작성일 2022.04.16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몇 달 전부터 창틀에 생기는 이 벌레 때문에 속을 썩이고 있습니다.
여기엔 작년 5월부터 살았고 여름에 초파리 조금 외에는 벌레 문제가 전혀 없었는데요.
신경을 못 쓰고 있다가 지난 2월 말쯤에 청소하려고 창틀을 보니 이 벌레가 잔뜩 죽어있는 걸 봤어요.
그 후로 신경을 쓰게 돼서 매일 십수 마리씩 계속 잡고 있기도 하고, 화분이 원인인가 해서 분갈이도 해보고 배수구 등 모두 청소도 해봤는데 더 나오면 더 나왔지 없어지질 않네요.
밖에서 들어오는 벌레인 지, 집 안에서 자라나고 있는 벌레인 지 어떻게 없애고 관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부탁드립니다 ㅠ_ㅠ.

KakaoTalk_20220416_161100812.jpg

KakaoTalk_20220416_161100812_01.jpg

KakaoTalk_20220416_161100812_02.jpg

사진이라 불분명 하나 다듬이벌레 유시충으로 추정됩니다.  

 

내부에서 서식 중인 개체 중 일부가 목격된 것일 수도 있고 

 

외부에서 발생한 개체가 유입될 수도 있습니다. 

 

(워낙 작아 방충망 그물눈을 통과하거나 창틀 틈새를 통해 내부로 기어 들어올 수 있습니다.)

 

 

다듬이벌레의 특징은 소수가 있을 때는 거의 눈에 띄지 않지만  

 

어느 시점(일정 밀도 이상)이 되면 눈에 띄기 시작하는데 

 

나무 등의 가구류, 벽지, 서적, 곡식 가루 등 온갖 곳에서 보일 수 있으며 

 

워낙 작고 유백색이라 초기발견 및 제어가 다소 어려운 녀석입니다.

  

 

하절기인 경우에는 환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낮추는 방법으로도 제어가 가능합니다.

 

습도를 낮추면서 동시에 다듬이벌레가 많이 보이는 곳 등지에 발생한

 

균류나 곰팡이류(제일 좋아하는 먹이원) 및 곡물가루, 곤충 사체는 물론

 

먼지까지도 철저한 청소를 통해 제거되어야 합니다. 

 

(다듬이벌레 주 먹이원이기 때문에 반드시 해야합니다.)

 

 

물리적인 조치에도 없어지지 않을 경우 정기적인 약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많이 목격되는 장소를 중심으로 주변 지역(특히 틈새) 에 에어졸을 처리해야 합니다.

 

 

약제 처리를 할 경우에는 1~2주 간격으로 2~3회 반복 처리해야 근절할 수 있으며

 

알려 드린 방법대로 해 보시고 그래도 없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전문 방제서비스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일 202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