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청소 해도, 음식물 다 치워도 남아있는 초파리가 너무 많습니다. 도와 주세요.
  • 작성자 김미수
  • 작성일 2021.08.12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한달전에 시아버님이 바나나를 선물로 주셨습니다...근데 역시나 상온에 납둬서 인지 금방 썩었구요.

초파리가 한두마리 보여서 얼른 버려야겠다 싶어 치웠습니다. 그런데 현재 바나나를 버린지 한달이 되었는데
기하급수적으로 초파리가 보입니다... 성충은 물론이고 어린 초파리도 보이며 락스로 닦은 쓰레기통 속에서도 수마리가 들어와 있고
방충망청소도 하고 과일도 일절 안놓았는데도 초파리가 부엌부터 시작해 안방 거실 화장실까지 엄청 많이 나옵니다.

초파리 트랩(식초넣음) 도 해놨지만 많이 잡혀도 여전히 성충이 많습니다. 반나절만에 트랩이 까맣게 되어요. 징그럽고 정말 보기도 흉합니다.

알을 낳고 본거지를 만든거 같은데 제발 어디서 왔는지, 어디에 알을 품었는지(?) 만이라도 알면 스트레스가 없겠는데
계속 날라다니는 것때문에 몸도 가렵고 정신병 걸릴 것 같습니다.

세스코 방문시에도 초파리도 잡아주시나요? 집안에 원인이 될만한 요소는 다 제거했는데도 아직 초파리가 남아 있고
왠지 더 생기는거 같아 너무 속상합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초파리는 자체 관리가 중요합니다.

참깨처럼 보이는 번데기를 최대한 제거하셔야 향후 발생하는 초파리 또는 벼룩파리를 보지 않을 수 있으니 

쓰레기봉, 음식물쓰레기통, 재활용 쓰레기 등이 위치한 장소 주변 및 부엌 등지를 한 번 더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것들이 성충이 되면, 금새 또 번식을 시작하기 때문에 심각해 집니다.) 

 

향후 초파리와 벼룩파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음식물쓰레기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해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 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라 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와 벼룩파리의 유인 및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답변일 2021.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