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이것때문에 고통받고있습니다
사진이라 불분명 하나 기생벌류로 추정됩니다.
기생벌이 사람을 공격하는 사례는 알려진바 없습니다.
기생벌 어미가 실내 어떤 동물성 먹이에 산란한 것이 부화해 나온 것일 수도 있고
(내부에서 발생한 경우라면 보관 중인 동물성 유기물을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외부에서 발생한 개체가 실내로 침입한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창문과 창문 사이 또는 창문과 방충망 사이의 틈새 또는 아래와 같이 창틀 틈새를 기어서 침입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림과 같은 창문과 창틀의 틈새에 문풍지를 붙여 놓으면 침입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출입문도 닫힌 상태에서 문풍지를 부착해 두면 좋습니다.
창문, 창틀 보완시에는 아래쪽, 위쪽 모두 실시해야 하며, 물빠짐 틈새도 꼭 보완하세요~!
약제를 사용한다면 파리, 모기 잡는 에어졸은 약효가 낮으니
바퀴벌레를 잡는 보행행충용 에어졸을 구입해 사용하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