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한 자세히 찍으려고 노력했는데 워낙 크기가 작은 벌레라 잘 구별이 되실지 걱정입니다..
크기는 "깨"나 "점" 처럼 매우 작은 사이즈 이며, 진한 갈색입니다.
이런모양의 비슷한 벌레라 조금씩 생기고 있어서 걱정이 되서 문의글을 남김니다. 또 간지럽진 않으나 벌레물진 자국이 자고 일어나면 몸에 자꾸 생겨 혹시 이벌레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벌레가 또 있는건지 너무 걱정이 됩니다.
해당벌레가 무엇인지..예방방법이 있는지.. 세스코 방문 처리가 필요한건지..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저장식품해충에 속하는 곤충 중 권연벌레로 사료됩니다.
저장식품해충은 쌀 등의 곡물류를 비롯해 1차 가공식품류인 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땅콩, 비스킷, 코코아, 커피,
시리얼, 건과류(바나나, 파인애플 등 과일 말린 것) 당근, 말린 꽃, 허브, 땅콩, 후추, 씨앗류, 애완동물 사료,
가죽, 실크, 곤충사체 및 가구 등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실온에 방치된 모든 먹거리에서 발생 가능하며,
밀폐가 되었다 하더라도 밀폐 이전 알이나 유충이 포함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것을
세세히 점검해 가면서 오염된 것을 찾아 선별 후 냉동/냉장 보관 또는 제거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사진에서 보는 것이 성충으로 성충은 추광성이라 야간에 형광등이나 낮에 햇살이 비치는 창 쪽에서
많이 목격될 수 있으니 파리채 또는 휴지 등으로 집어내는 등의 방법으로 성충을 제거하면 됩니다.
유충의 경우에는 발원지를 찾아 적절한 조치를 하더라도
이미 발원지에서 기어 나와 주변(창틀, 문지방, 가구, 천정 등지)의 틈새에서 은신한 후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어 나올 수 있으니 이런 장소를 점검해 유충이나 번데기를 제거하는 것도
성충 발생 밀도도 감소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권연벌레 문제로 보아 무는 해충은 권련침벌이 의심됩니다.
피해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모기에 물린 것 보다 더 아프다고들 합니다.
권련침벌은 먹이원이 없는 경우 발생할 수 없습니다.
주요 먹이원인 "권연벌레"를 우선적으로 퇴치하여야 퇴치가 가능합니다.
먹이원인 권연벌레가 퇴치되면 권련침벌도 자연적으로 서서히 퇴치가 됩니다.
권련침벌이 실내 곳곳에서 보이면서 주 서식처가 확인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원터치형 에어졸을 구입해 1~2주 간격으로 2~3회 처리해 제어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원처치형 에어졸을 사용할 경우에는 작동 후 즉시 외부로 이동하시기 바라며
1~2시간 이후 충분한 환기를 시키고 약제가 묻은 부분에 대해서 중성세제와 걸레를 이용해 닦아내는 청소를 해야합니다.
답변일 202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