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가정집
  • 작성자 신정혁
  • 작성일 2020.09.10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안양시 만안구에 위치한 평범한 원룸입니다.

뒤에 산이 있어 벌레가 많이 나올거라고는 예상했지만, 상상이상으로 많이 나오더라고요...

문의 드리려는 내용은

1. 사진의 벌이 방에서 계속 출몰합니다. 출퇴근시 문으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출몰합니다.
어디에서 나오는지 도저히 영문을 모르겠습니다. 출몰빈도도 굉장히 잦구요..(자고 일어나거나 출퇴근시 한마리씩은 꼭 창가나 부엌 형광등에서 맴돌고 있으며 방바닥에 죽어서 뒹굴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많이 나온건 하루에 8마리까지 잡아봤네요)
방충망도 겉보기엔 멀쩡하고 유입될 수 있는 경로가 없습니다...
이 벌의 종류가 어떤 것인지, 들어오는 경로를 찾아내거나 특정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KakaoTalk_20200910_142723744.jpg
2. 위 사진에 벌과 함께 숙면중인 날파리들은 어떤 종류인가요??
지금은 날이 시원해져서인지 드문드문 보이지만 한여름에 가장 심할때는 열받아서 때려잡았더니 200마리 족히 잡은것 같네요...
사진상으론 잘 안보이는데 초파리랑 비슷하지만 색이 검은편이고 엉덩이에 침마냥 가느다란 털?? 관?? 이 나와있습니다

3. 벌이 방에 나타날무렵에 같이 나타난 애벌레입니다.
혹시 벌의 유충인가요??? 요놈은 나타나는 빈도는 드문편입니다.
KakaoTalk_20200910_142724338.jpg



등록된 사진으로 정확한 종류 확인은 어려우나

벌이 지속적으로 목격된다며 벌의 애벌레가 의심되기는 합니다.

단독생활을 하는 야생벌은 바위나 나무 등의 틈새 또는 사람의 거주지에 들어와

창틀 틈새나 가구 틈새 등지에 진흙을 이용해 집을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본적인 퇴치 방법으로는 칩입을 막아야하며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것이니 실내에 모든 틈새를 찾아 실리콘 등으로 보완해야합니다. 

창문/방충망 등지에 붙어 있다가 

창문과 창문 사이 또는 창문과 방충망 사이의 틈새 또는 아래와 같이 창틀 틈새를 기어서 침입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림과 같은 창문과 창틀의 틈새에 문풍지를 붙여 놓으면 침입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출입문도 닫힌 상태에서 문풍지를 부착해 두면 좋습니다.  

창문, 창틀 보완시에는 아래쪽, 위쪽 모두 실시해야 하며, 물빠짐 틈새도 꼭 보완하세요.

 

작은 파리는 초파리와 비슷하다고 하시니 벼룩파리가 의심됩니다.

보통 벼룩파리의 침입이나 발생은 초파리와 같다고 보면 되지만 

초파리의 경우 대부분이 당분이 많은 장소, 발효가 진행되는 곳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비해 

벼룩파리의 경우 유기물이 썩는(부패) 장소에서 발생합니다. 

 

쓰레기통이나 음식물쓰레기 등지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지만 

싱크대 배수구나 싱크대 주름 관이 바닥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화장실 하수 배관 등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벼룩파리가 발생하는 장소를 들어 몇 가지 보완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싱크대에서 물을 사용할 때만 열리는 트랩을 구입해 사용하시고 

싱크대 하단 가림 판을 제거해 바닥으로 주름 관이 연결되는 부분은 쿠킹 호일을 이용해 감싸 보세요. 

이 장소가 문제였다면 보완하는 즉시 효과가 나타날 겁니다. 

 

2) 화장실 바닥 하수구는 칫솔 등을 사용해 최대한 닿는 곳까지 배관 내부의 유기물을 제거하고 

욕조나 세면대의 경우에는 마개를 닫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 하수구커버는 스타킹을 씌워 놓으면 됩니다.) 

 

3) 실내에 화분이 있다면 물 받침대에 고인 물을 제거하고, 중성세제를 이용해 깨끗이 닦아 보세요. 

(물에 고여 있던 화분 하단부 안쪽도 닦아 낼 수 있다면 더욱 좋고요.)

 

4) 베란다가 있고, 우수배관이나 하수구가 있다면, 물을 사용할 때를 제외하고 막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 외에도 유기물이 퇴적되고 부패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대한 점검을 통해 

조치를 취한다면 벼룩파리 발생은 현저히 감소할 겁니다.

 

 

 

 

 

 

 

답변일 202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