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가정집(원룸)
  • 작성자 허영신
  • 작성일 2019.11.19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KakaoTalk_20191114_173358832_01.jpg

KakaoTalk_20191114_173358832_04.jpg

KakaoTalk_20191118_010841371_01.jpg

KakaoTalk_20191118_010841371_02.jpg

안녕하세요 저번주 금요일인가 글을 썻었는데 메일 답변도 없으시고 벌레도 또 나오고 해서 다시 글씁니다. 
또 발닦는 수건에 같은 벌레가 나와서 이번엔 자세히 찍을수 있게됐어요 
저번에 글 썼던게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어서... 다시 한번 내용 말씀드릴게요
몇개월전부터 한마리씩 한마리씩 지금까지 나타나고 있어요 크기는 초파리 만하거나 그거보다 더 작거나 합니다
날아다니진 않고요 저번에 글을 쓰고 한 두 마리 더 나왔어요 
이때까지 발견된 장소는 발닦이 수건에 세번정도 니트 위에 한마리 
그리고 문지방에 두번 그리고 침대위에 한번 바닥에서도 나온적있고
사용하지 않는 싱크대 밑 서랍?아무튼 냄비 놔두고 할수 있는 공간에 책들이 있거든요 거기에도 한마리..
아무튼 스트레스 입니다ㅠㅠ 작아도 징그럽고 찝찝해요 저번에 올린글에 사진은너무 흐릿했지만
이번엔 그래도 벌레 사진이 잘 나온거 같습니다 꼭좀 이벌레 어떤벌레인지 좀 알려주세요 
퇴치방법도요...ㅠ 꼭좀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종합환경 위생기업 세스코입니다.

 

지난 14일 등록해주셨던 사진은 해상도가 낮아 확인이 어려웠는데

이번에 찍으신 사진은 해충 확인이 가능합니다.

 

수시렁이과 유충으로 사료됩니다.

 

저장식품해충에 속하는 수시렁이과는 대부분 성충과 유충 모두 

동물의 시체나 건어물, 모피, 햄, 베이컨, 고기, 치즈, 애완동물사료, 곤충/가죽/깃털/뿔/털 등 

동물 표본 등을 주 먹이원으로 합니다. 

  

우선은 내부에서의 발생을 의심하고,

발견된 장소를 중심으로 언급한 것들 대한 조사를 실시해 발원지를 찾아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심 대상은 옷가지와 이불 등으로 가능하다면 외부로 가지고 나가 털어 내거나 세탁을 하세요.)

 

어쩌면 밖에서 발생해 틈새로 침입한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베란다 주변, 에어컨 실외기 등의 주변에 

비둘기 사체/둥지 (1층일 경우 쥐나 고양이 등의 사체)등이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런 동물 사체나 둥지 등에서 발생한 후 베란다나 벽체 또는 창문 틈새를 통해 침입할 수도 있거든요.

 

후자 경우라면 확인 후 제거하시고 에어졸을 틈새에 처리한 이후에 실리콘/우레탄 폼/문풍지 등으로

적절히 틈새 보완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일 2019.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