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가정
  • 작성자 정예지
  • 작성일 2019.09.17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KakaoTalk_20190917_100728441.jpg


음식물분쇄기가 있는 집이라 음식물이 거의 없음에도

여름이라 초파리? 날파리? 같은것들이 생겨났었어요.

얼마전에 주방근처 (하부장 밑, 냉장고 밑 등 주방근처) 바닥에 저런 사체 같은것들이 십여개가 널부러져 있더라고요.

이미 애벌레가 나온 빈껍데기 처럼 생겼는데 주변을 보니 작고 허연 애벌레 두마리가 기어다니고 있었구요.

 

이게 초파리의 번식인가요?

여름에 주로 많았다가 사라지는 초파리라면 일시적인 알까기로

무궁무진하게 계속 번식하는 다른 벌레들 같지는 않겠죠? ㅠㅠ

그 애벌레들이 며칠뒤 초파리가 되어 하루살이처럼 살다가 죽고하는 건가요?

계속 번식되지만 않으면 살충제 몇번 뿌리고 말려고 하는데 잘 안보이는 바닥에 저리 많으니 밟고 지나가게될까 찝찝하고 징그럽네요 ㅜㅜ

 

 

사체가 아니라 참깨와 비슷해 보이는 초파리 또는 벼룩파리의 번데기입니다.

 

혹시라도 주변에 날라 다니는 것이 있다면 그 번데기에서 우화한 성충인 초파리/벼룩파리일거고요.

 

발견된 플라스틱 통 주변에 있는 쓰레기통이나 싱크대 등 내부에 있는 어떤 유기물로 인해

 

초파리나 벼룩파리가 유인되어 산란, 지금 목격한 번데기가 된 상태로 보입니다.

 

 

 

우선 참깨처럼 보이는 번데기를 최대한 제거하셔야 향후 발생하는 초파리 또는 벼룩파리를 보지 않을 수 있으니

 

쓰레기봉, 음식물쓰레기통, 재활용 쓰레기 등이 위치한 장소 주변 및 부엌 등지를 한 번 더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것들이 성충이 되면, 금새 또 번식을 시작하기 때문에 심각해 집니다. ㅡㅡ^)

 

 

향후 초파리와 벼룩파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음식물쓰레기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해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 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라 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와 벼룩파리의 유인 및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답변일 2019.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