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 벌레 없애고 싶은데 어떤 벌레인지도 모르겠고 완전박멸 가능한지 궁금해요
최근 아래 사진의 벌레가 매일 나와서 신경쓰이고 짜증이나요- -;
얼핏보면 초파리나 날개있는 개미 같이 보이지만 검은깨 처럼 매우작고, 날개는 있지만 전혀 날지는 않아요.. 그리고 거의 기어다니지도 않고 한자리에 오랫동안 붙어있네요..
저희집에서는 벽지있는 벽면, 나무인테리어 있는 조명부근의 천장, 바닥에 깔아놓은 이불위, 행주, 화장지,키친타올 등에서 발견했었어요
근데 주로 벽지있는 벽면, 천장 쪽에는 항상 보이는듯 해요..
음식물에는 붙어있지 않고 날지 않는걸 보면 일반적으로 아는 파리나 개미는 아닌것 같은데...
혹시 새집에 나온다는 새집벌레라는 먼지다듬이 라는 벌레일까요?
저희집이 신축 원룸인데 처음엔 이사왔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진처럼 무슨 먼지같이 너무 작은 하얀 벌레가 보이더니(너무 작아서 집중해서 봐야 보일정도 였고 어쩔수없이 휴지로 죽이고 폰으로 찍었어요) 몇번 발견되고 한동안 덜나와서 안심하고 있었는데 근데 요즘엔 이 벌레보다 사진속 어두운색 벌레가 자주 보여요 혹시 하얀 점 같은 벌레가 자란 성충일까요?
집에서 어떻게 퇴치하고 박멸할수 있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하루에 최소10마리 이상은 휴지로 잡는데 짜증나요
괜히 온몸이 괜히 간질거리는것 같고 넘 신경쓰여요.. 사람에게 해를 끼치거나 피부질환 생길까봐 걱정도 됩니다ㅠㅠ
혹시 의뢰하면 완전박멸이 가능한가요?
다듬이벌레 성충으로 확인됩니다.
이 종류의 특징은 소수가 있을 때는 거의 눈에 띄지 않지만
어느 시점(일정 밀도 이상)이 되면 비로서 눈에 띄기 시작하는데
나무 등의 가구류, 벽지, 서적, 곡식 가루 등 온갖 곳에서 보일 수 있으며
워낙 작고 유백색이라 초기발견 및 제어가 다소 어려운 녀석입니다. ㅡㅡ^
하절기인 경우에는 환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낮추는 방법으로도 제어가 가능하며,
(좁은 틈새, 가구 하단 등은 선풍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기온차가 큰 환절기와 동절기에는 환기를 실시하는 것 보다는 실내 난방이 더 효과적입니다.
습도를 낮추면서 동시에 다듬이벌레가 많이 보이는 곳 등지에 발생한
균류나 곰팡이류(제일 좋아하는 먹이원) 및 곡물가루, 곤충 사체는 물론
먼지까지도 철저한 청소를 통해 제거되어야 합니다.
(다듬이벌레 주 먹이원이기 때문에 반드시 해야합니다.)
물리적인 조치에도 없어지지 않을 경우 정기적인 약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많이 목격되는 장소를 중심으로 주변 지역(특히 틈새) 에 에어졸을 처리해야 합니다.
약제 처리를 할 경우에는 1~2주 간격으로 2~3회 반복 처리해야 근절할 수 있으며
알려 드린 방법대로 해 보시고 그래도 없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전문 방제서비스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일 2018.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