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벌레 알인것같은데 어떤벌레 알인가요?ㅠㅠ
  • 작성자 김연서
  • 작성일 2017.12.25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KakaoTalk_20171225_151128223.jpg

KakaoTalk_20171030_130958789.jpg


안녕하세요ㅠㅠ! 보일러실을 청소하다가 위에있는 사진처럼 벌레 알같은것들이 엄청 많이 있는걸 발견했어요

징그러워서 장갑끼고 다 치우긴 했는데 무슨 벌레 알인가요?ㅠㅠ바퀴벌레는 아니겠죠? 크기는 깨 정도의 크기였어요

아래사진에 있는 벌레가 집에서 종종 보이는데 저 벌레의 알인가요?

약 사서 놔두거나 뿌리려고 하는데 쌀벌레나 날파리 약중에 어떤거 사서 뿌리면될까요?ㅠㅠ

 

 

깨정도의 크기, 참깨와 비슷한 초파리의 번데기입니다.

 

혹시라도 주변에 날라 다니는 것이 있다면 그 번데기에서 우화한 성충인 초파리고요.

 

보일러실 내부 혹은 그 주변에 있는 어떤 유기물로 인해

 

초파리가 유인되어 산란, 지금 목격한 번데기가 된 상태로 보입니다.

 

 

 

우선 참깨처럼 보이는 번데기를 최대한 제거하셔야 향후 발생하는 초파리를 보지 않을 수 있으니

 

쓰레기봉, 음식물쓰레기통, 재활용 쓰레기 등이 위치한 장소 주변 및 부엌 등지를 한 번 더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초파리가 되어 나오면, 금새 또 번식을 시작하기 때문에 심각해 집니다. ㅡㅡ^)

 

 

향후 초파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음식물쓰레기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해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 초파리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 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라 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초파리가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의 유인 및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아래쪽 사진은 사진의 선명도가 낮지만 저장식품해충에 속하는 톱가슴머리대장으로 사료됩니다.

 

저장식품해충은 쌀 등의 곡물류를 비롯해 1차 가공식품류인 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땅콩, 비스킷, 코코아, 커피,

 

시리얼, 건과류(바나나, 파인애플 등 과일 말린 것) 당근, 말린 꽃, 허브, 땅콩, 후추, 씨앗류, 애완동물 사료,

 

가죽, 실크, 곤충사체 및 가구 등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실온에 방치된 모든 먹거리에서 발생 가능하며,

 

밀폐가 되었다 하더라도 밀폐 이전 알이나 유충이 포함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의심되는 모든 것을 세세히 점검해 가면서 오염된 것을 찾아 선별 후 냉동/냉장 보관 또는 제거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쌀과 같은 폐기가 애매한 곡물류에서 발생하고 있다면 그늘진 곳에 신문지를 깔고 해당 곡물을 모두 꺼내어 건조하세요. 

 

이 때 펼쳐진 신문지 외곽으로 박스 테이프를 양면으로 붙여 놓아 빠져나가는 성충이나 유충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유충의 경우 신문지 안 쪽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한 신문지를 폐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선별하다 보면 뭉쳐진 곡물 덩어리를 발견하게 되고, 이를 해체하면 유충이나 번데기를 목격할 수 있는데

 

이를 제거해야 한다는 것은 꼭 기억하세요.

 

건조 및 1차 선별이 끝나면 쌀 등의 곡물을 담았던 자루나 포대는 폐기하고 

 

냉동/냉장 보관이 가능한 크기의 밀폐용기/ 비닐 등에 담아 냉동/냉장고에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곡물류가 아닌 비교적 저렴한 1차 가공식품 류에서 발생한 경우라면 그냥 폐기하시는 것이 수월할 겁니다.

 

또한 발원지를 제거하더라도 이미 그 곳에서 빠져 나온 애벌레가 번데기를 거쳐 성충으로 될 수 있는데,

 

방 천정 모서리나 책장 모서리 등을 점검하여 유충이나 번데기가 있는지 확인하시고 보이는 즉시 제거하여야 

 

추가 번식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으로 목격되는 성충 그리고 다른 물질에 침입해 추가번식 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밀폐, 냉동/냉장 보관 등의 관리에 노력하셔야 합니다.

 

 

답변일 2017.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