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가정 해충문의 드립니다.
  • 작성자 김선미
  • 작성일 2017.11.22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38DDF4DD-EADE-40E2-962F-6C536A8FB978.jpeg

A42DE10E-BB79-4721-91E5-B791B7911977.jpeg

725016AE-EA6C-484E-A069-8BDF44C1F2D6.jpeg

FDA5BC9B-1163-49E4-B0C7-C76657D33C78.jpeg

몇 주 전부터 사진과같은 벌레가 발견이 됩니다.

 

쌀알보다 조금 작은 사이즈이고, 느릿느릿하게 기어다니고 건드리면 공벌레처럼 움츠러 들고 딱딱한 등딱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 벌레가 무엇이며, 왜 나타나는 걸까요?ㅠ

 

이게 성충인건지,, 아니면 새끼들이 돌아다니는건지,, 너무너무 스트레스네요,

 

답변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저장식품해충에 속하는 곤충 중 권연벌레나 창고좀벌레로 사료됩니다. 

 

저장식품해충은 쌀 등의 곡물류를 비롯해 1차 가공식품류인 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땅콩, 비스킷, 코코아, 커피,

 

시리얼, 건과류(바나나, 파인애플 등 과일 말린 것) 당근, 말린 꽃, 허브, 땅콩, 후추, 씨앗류, 애완동물 사료,

 

가죽, 실크, 곤충사체 및 가구 등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실온에 방치된 모든 먹거리에서 발생 가능하며,

 

밀폐가 되었다 하더라도 밀폐 이전 알이나 유충이 포함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것을 

 

세세히 점검해 가면서 오염된 것을 찾아 선별 후 냉동/냉장 보관 또는 제거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사진에서 보는 것이 성충으로 성충은 추광성이라 야간에 형광등이나 낮에 햇살이 비치는 창 쪽에서

 

많이 목격될 수 있으니 파리채 또는 휴지 등으로 집어내는 등의 방법으로 성충을 제거하면 됩니다.

 

  

유충의 경우에는 발원지를 찾아 적절한 조치를 하더라도

 

이미 발원지에서 기어 나와 주변(창틀, 문지방, 가구, 천정 등지)의 틈새에서 은신한 후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어 나올 수 있으니 이런 장소를 점검해 유충이나 번데기를 제거하는 것도

 

성충 발생 밀도도 감소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일 2017.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