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날벌레 관련하여 문의드려요
  • 작성자 김정선
  • 작성일 2017.08.28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하 눈물이 나네요

장문의 글을 쓰고 있었는데... 손가락 한번 잘못 밀어서 다 날아갔습니다 ㅠㅠ

 

다름이 아니라 날벌레(?) 에 관해 문의드리려고 하는데요

 

저는 4년정도 된 아파트에 살고 있구요

9개월 된 아기와 주로 거실에서 생활을 합니다

그런데 이 거실에서 날벌레가 출몰하기 시작했어요

 

날아다니기도 하고, 점같은 작은 벌레가 기어다니기도 하고요...

아주 작아도 날개 붙은건 보이더라구요?

근데 이게 잡아도 잡아도 줄어들지가 않아요

 

거실 창문 쪽으로 자꾸 날아들어서 밖에서 들어오는가 했는데 아니더라구요

 

아기가 이유식을 흘린 곳을 제가 모르고 못 닦은 곳에 우글우글 모여있기도 하고요

아님 그냥 테이블이나 매트 아래, 선반 이런데서도 기어다녀요

물건 하나 들어보면 그밑에 여러마리 모여있기도 하고요

 

어젠 먹을거리 하나 없는 선반에 올려둔 천 사이에 여러마리 모여있는거 보고 질겁을 했네요

그냥 액자에서도 기어다녀요 ㅠㅠ

 

나름 벌레가 나올만한 곳을 추측해보았는데 찾지를 못했네요

화장실인가 했는데 화장실에서는 그 벌레가 안보여요

 

아까는 제가 피자를 먹는데 옆에와서 앉길래 눌러 죽였는데

그안에서 벌레가 여러마리 기어나오더라구요?ㅡㅡ

지금도 심장이 간질간질하게 소름돋네요

분명히 구더기?모양은 아니고 그냥 작은게 기어나왔는데...

날벌레가 새끼를 낳기도 하나요?

 

초파리랑은 다르게 생겼어요

 

먹을거에서 나오는가 싶어 신경쓰는 편인데 여태 봐오던 초파리랑은 좀 다르고

초파리보다 좀 커요

좀 큰 녀석은 등이 살짝 둥근것 같이 생기기도 하고요

그보다 더 큰 건 아직 못봤어요

 

기저귀 쓰레기통에서 나오는걸까요?

아님 주방 배수관 같은데서 나오는 걸까요...

에어컨일수도 있을까요? (에어컨 사기 전엔 안보였던 벌레이긴 해요)

 

- 관리자님 답변 읽다보니 벼룩파리? 란 게 있던데 이것인지...

해로운 벌레인지 궁금합니다

사진을 올리지 못해 죄송해요

찍으려고 하니 안보이네요 ㅡㅡ;;

 

- 무료방문상담은 오셔서 집상태를 보고 상담을 해주시는건지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 보통 이런 날벌레류도 세스코에서 관리해주시는지, 쓰이는 약이 아기에게 해롭지는 않은지 궁금합니다

대충 비용도 어느정도 드는지 알려주세요

 

질문이 길었지요 ㅠㅠ

사진 찍게되면 올릴게요

답변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

 

+사진 추가할게요

 

KakaoTalk_20170828_164338704.jpg

 

 

사진을 보니 벼룩파리로 확인됩니다. 

 

보통 벼룩파리의 침입이나 발생은 초파리와 같다고 보면 되지만

 

초파리의 경우 대부분이 당분이 많은 장소, 발효가 진행되는 곳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비해

 

벼룩파리의 경우 유기물이 썩는(부패) 장소에서 발생합니다. ㅡㅡ^

 

 

외부에서 날아들어 오기 때문에 창문/방충망에 대한 관리를 잘해야 하고,

 

출입문 여닫는 시간도 최소화해야 합니다.

 

 

쓰레기통이나 음식물쓰레기 등지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지만

 

싱크대 배수구나 싱크대 주름 관이 바닥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화장실 하수 배관 등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벼룩파리가 발생하는 장소를 들어 몇 가지 보완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싱크대에서 물을 사용할 때만 열리는 트랩을 구입해 사용하시고

 

싱크대 하단 가림 판을 제거해 바닥으로 주름 관이 연결되는 부분은 쿠킹 호일을 이용해 감싸 보세요.

 

이 장소가 문제였다면 보완하는 즉시 효과가 나타날 겁니다.

 

 

2) 화장실 바닥 하수구는 칫솔 등을 사용해 최대한 닿는 곳까지 배관 내부의 유기물을 제거하고

 

욕조나 세면대의 경우에는 마개를 닫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 하수구커버는 스타킹을 씌워 놓으면 됩니다.)

 

 

3) 실내에 화분이 있다면 물 받침대에 고인 물을 제거하고, 중성세제를 이용해 깨끗이 닦아 보세요.

 

(물에 고여 있던 화분 하단부 안쪽도 닦아 낼 수 있다면 더욱 좋고요.)

 

 

4) 베란다가 있고, 우수배관이나 하수구가 있다면, 물을 사용할 때를 제외하고 막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 외에도 유기물이 퇴적되고 부패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대한 점검을 통해

 

조치를 취한다면 벼룩파리 발생은 현저히 감소할 겁니다.

 

 

답변일 201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