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벌레 무슨 벌레죠?
  • 작성자 김상호
  • 작성일 2017.07.21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수정됨_20170721_215021.jpg

 

방충망이나 창틈으로 들어오는건 아니에요 다 막아놔서 작은 초파리도 안들어 오거든요

여름부터 하루에 한두마리씩 보여요

모기약 많이 뿌려도 나오는건 없구요

장농빼고 다 뒤져봤는데 따로 보이는건 없는데 꼭 하루에 한두마리씩은 나오네요

불빛을 좋아하는지 밤에 꼭 보이구요

컴퓨터 모니터만 켜 놓으면 모니터 화면에 붙어있어요

날개도 있고 더듬이도 있던데.........ㅠ

무슨 벌레도 어떻게 없애죠?

사진이라 정확한 확인은 어려우나 곡식좀나방과로 사료됩니다.

 

 

현재 보이는 장소가 발생원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들은 추광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생원과 동 떨어진 곳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일단 제가 보기에는 주방 쪽이 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차 가공식품류 등 장기 보관이 가능한 제품에서도 충분히 발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먹거리가 보관된 장소 주변을 집중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쌀, 현미, 보리, 콩 등의 곡물류나 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땅콩, 비스킷, 코코아, 커피,

 

건과류<바나나, 파인애플 등 과일 말린 것>, 당근, 말린 꽃, 허브, 땅콩, 후추 등 양념류, 씨앗류,

 

애완동물 사료, 가죽, 실크, 곤충사체 및 가구 등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실온에 방치된 모든 먹거리)

  

점검에 따라 발생원이 확인되면 양과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해 선별 후 냉동/냉장 보관 또는 폐기를 하시면 됩니다.

 

  

단, 발생 의심 물품을 폐기하더라도 발원지를 기어 나온 유충이

 

사물의 모서리, 천정 틈새, 창틀 틈새 등지에 은신했다가 성충이 되어 나오는 경우가 당분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숨어 있는 유충이나 번데기를 100% 찾아내는 것은 힘들기 때문에,

 

성충이 보일 경우 즉시 잡아내고 추가 번식을 막기 위해 식품류에 대한 보관을

 

보다 철저히 해 점차 수를 줄여나가는 방법을 활용한다면 충분히 제어될 겁니다.

 

 

약제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보행해충용 에어졸, 쉽게 바퀴벌레용을 구입해 사용하면 됩니다.

답변일 2017.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