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살인진드기인가요?
  • 작성자 최명화
  • 작성일 2017.06.21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일반주택인데 마당에서 개를 기르고있거든요. 어느날부터 계속 멍멍이한테 진드기가 붙는데 털위쪽에있어서 몇번 떼어내줬는데 
오늘아침에 아빠한테 붙어서 피빨고 있었다그랫거든요

요새기승하는 살인진드기인가요???

저런 외부 진드기도 구제가 가능한지요???

더불어 모기, 초파리, 쇠파리 같은것들도 없앨수있나요? ㅠㅠ 여름되니까 별별 벌레들때문에 넘나 스트레스에요

20170616_123924.jpg

사진이라 정확하진 않지만 사진 속의 빨간 벌레는 진드기의 일종인 레드버그로 사료됩니다.

 

레드버그는 흡혈해충으로 3~4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성충이 되기 위해서는 흡혈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충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달라붙어 3일 정도 흡혈을 합니다. ㅡㅡ^

 

크기가 매우 작고 가벼워 풀이나 나무 잎사귀 같은 곳에 올라가 지나가는 숙주에 부착하거나

 

바람을 타고 이동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람을 타고 이동하는 경우 벽면이나 창문에 부착한 후 창틀 틈새나 방충망 그물눈 틈새로 기어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시중에서 판매하는 에어졸을 창틀과 방충망, 출입문 테두리 / 하단 등에 살포해 기어들어오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미 실내로 침입한 개체는 굳이 에어졸을 처리할 필요는 없고요. 박스 테이프 같은 것으로 꾹꾹 눌러서 잡으면 됩니다.

 

(혹시나 틈새 등지에 은신하고 있는 것이 우려된다면 에어졸을 사용하시고요.)

  

  

다른 일반적인 해충과 달리 높은 습도에 민감해 습도가 높아지면 죽으니 참고하세요 ^^;

 

(주택이라면 마당, 벽면 출입문 주변, 옥상 등지에 물을 처리하는 것 만으로 그 자리에 있는 레드버그의 제어가 가능합니다.)

 

  

혹시라도 레드버그에게 가해를 받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착용하고 있는 의복과,

 

침구류를 세탁하고 샤워 등을 통해 몸에서 떼어내야 합니다.

 

가려움증이 지속될 경우 병원 진료를 받으시거나 항히스타민제를 구입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일 2017.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