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벌레가 뭔지 알려주세요.
  • 작성자 유기봉
  • 작성일 2015.09.06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이 벌레가 뭔지 알려주세요.


요즘 몇일 째 부엌 구석에서 벌레 껍질로 보이는 것들을 쓸어담고 있습니다.

최근 날파리류 들이 많아진 것 같은데 저런 껍질들이 보이니 너무 불안하네요.

저것들이 어느 벌레인지, 얼마나 해충인지...

20150906_042929_resized.jpg

20150906_042939_resized.jpg

20150906_045645_resized.jpg

20150906_045728_resized.jpg

20150906_045735_resized.jpg


답변 부탁드릴께요.

 

 

위 두 사진은 초파리 번데기고요, 하단의 사진 중 다르게 보이는 것은 다듬이벌레입니다.

 

  

참깨와 비슷하지요? 바로 초파리의 번데기입니다.

 

혹시라도 주변에 날라 다니는 것이 있다면 그 번데기에서 우화한 성충인 초파리고요.

 

발견된 플라스틱 통 주변에 있는 쓰레기통이나 싱크대 등 내부에 있는 어떤 유기물로 인해

 

초파리가 유인되어 산란, 지금 목격한 번데기가 된 상태로 보입니다.

 

 

 

우선 참깨처럼 보이는 번데기를 최대한 제거하셔야 향후 발생하는 초파리를 보지 않을 수 있으니

 

쓰레기봉, 음식물쓰레기통, 재활용 쓰레기 등이 위치한 장소 주변 및 부엌 등지를 한 번 더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초파리가 되어 나오면, 금새 또 번식을 시작하기 때문에 심각해 집니다. ㅡㅡ^)

 

 

향후 초파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음식물쓰레기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해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 초파리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 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라 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초파리가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의 유인 및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다듬이벌레는 크기도 작고 미색이라 소수가 있을 때는 거의 눈에 띄지 않고 

 

대량으로 발생히 되어서야 비로서 눈에 띄기 시작하는데

 

곰팡이나 균류가 주식이기 때문에 이 것이 있는 장소에서 쉽게 목격할 수 있으며,

 

가구(목재)류, 벽지, 서적, 곡식 가루 등 온갖 곳에서 보일 수 있습니다. ㅡㅡ^

 

(직접적인 해를 주지는 않지만 작은 벌레가 꼬물꼬물 기어 다니고 날아 다닌다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입니다.)

 

 

다듬이벌레는 습도에 민간해 상대 습도를 낮추어 주면 사멸합니다.

 

현재 발견되는 베란다나 걸레받이 부분.....모두 습한 곳이지요.

 

자연 환기나 통풍이 부족하다면 선풍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요.

  

밀도가 높을 경우,

 

보행해충용 에어졸을 사용해 제어하는 방법도 있지만

 

습도를 낮추는 물리적인 제어가 다듬이벌레를 제어하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

 

 

 

답변일 201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