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문의합니다
  • 작성자 정민주
  • 작성일 2014.08.14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한달넘게 방을 비워뒀는데 냉장고 전원코드 연결이 고장났는지

돌아오니 냉장고에 날파리가 너무많고 구더기, 갈색쌀알같은 작은것들이 너무 많았어요

그래서 화요일에 겨우겨우 썩은 음식물 싹 버리고 냉장고 청소하고

문틈사이 고무패킹에도 청소해서 어느정도 벌레 없어졌는데

아직까지 날파리가 계속 생기네요

손 닿을 수 없는 냉장고 안쪽 내부에서 알을 깐거 같은데

이건 어떻게 할수가 없어서요

현재는 냉장고 사용을 안하는 상태에요

냉장고 전원코드 꼽고 가동시키면 내부에 있는 구더기 파리들이 죽을까요?

지금은 에어컨 최저로 틀고 선풍기도 냉장고에 바로 틀어서 온도 낮추고 습기도 제거하고있는데

(이렇게 하면 파리 번식 약하지 않을까 싶어서요) 이렇게 하는게 맞나요?

 

 

 

갈색 쌀알같이 생긴 것은 바로 초파리의 번데기이며, 꾸물거리는 것은 유충이지요.

 

1차 처리시 살아남은 것이 있었거나, 그 이후 또 다시 침입한 초파리가 목격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지금 발생한 번데기와 유충을 최대한 제거하셔야 향후 발생하는 초파리 성충을 보지 않을 수 있으니 쓰레기는 외부로 폐기하고 쓰레기통 내외부및 냉장고 내외부를 중성세제를 이용해 잘 닦으세요.

 

그리고 에어졸이 있을 경우에는 쓰레기통및 냉장고 주위에 약제를 살포해두면 추가발생을 막을 수 있을 겁니다.

 

앞으로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점점 줄어 아예 보이지 않게 되겠지만 초파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음식물 쓰레기 봉지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하여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 초파리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 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라 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초파리가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의 유인 및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초파리가 침입하지 않도록 방충망은 항시 사용하고, 출입문을 여닫을 때는 아주 신속히 해, 외부에서의 침입 자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세요~!

 

답변일 2014.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