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집 나가고 싶어요ㅠ.ㅠ 도와주세요.ㅣ
  • 작성자 이영규
  • 작성일 2014.07.21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대략 1달 전부터 퇴근하면 방바닥이나 벽에 저런 애들이 붙어 있었습니다.

대략 3~4마리 정도...

 

산이 가까워서 그런가보다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그냥 보이는대로 휴지로 잡아서 죽였는데.

 

어느 날 농장문 열어보고 죽는 줄 알았습니다.

 

이불에 100마리는 넘게 붙어있더라고요.

깜짝 놀라서 진공 청소기 들고 와서 농장 다 파헤치고 벽이고 바닥이고 뭐고

200마리는 빨아들인 것 같은데...

 

다음날 또 10마리씩 발견되네요.

 

이 더러운 놈의 정체는 무엇이며 어떻게 퇴치해야 하는지.

와서 처치해주는데 대략 견적은 어느 정도인지 알고 싶습니다.

 

잠도 못 자겠네요.

 
 
사진이 선명하지 않아, 정확한 판단은 어렵지만 저장식품해충에 속하는 곤충 중 권연벌레나 창고좀벌레로 사료됩니다
 
 
저장식품해충은 쌀 등의 곡물류를 비롯해 1차 가공식품류인 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땅콩, 비스킷, 코코아, 커피,
 
 
시리얼, 건과류(바나나, 파인애플 등 과일 말린 것) 당근, 말린 꽃, 허브, 땅콩, 후추, 씨앗류, 애완동물 사료,
 
 
가죽, 실크, 곤충사체 및 가구 등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실온에 방치된 모든 먹거리에서 발생 가능하며,
 
 
밀폐가 되었다 하더라도 밀폐 이전 알이나 유충이 포함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것을 
 
 
세세히 점검해 가면서 오염된 것을 찾아 선별 후 냉동/냉장 보관 또는 제거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사진에서 보는 것이 성충으로 성충은 추광성이라 야간에 형광등이나 낮에 햇살이 비치는 창 쪽에서
 
 
많이 목격될 수 있으니 파리채 또는 휴지 등으로 집어내는 등의 방법으로 성충을 제거하면 됩니다.
 
 
유충의 경우에는 발원지를 찾아 적절한 조치를 하더라도
 
 
이미 발원지에서 기어 나와 주변(창틀, 문지방, 가구, 천정 등지)의 틈새에서 은신한 후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어 나올 수 있으니 이런 장소를 점검해 유충이나 번데기를 제거하는 것도
 
 
성충 발생 밀도도 감소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일 2014.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