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벌레 종류 질문
  • 작성자 이보미
  • 작성일 2014.07.14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질문 1. 이 벌레 종류 알 수 있을까요. 사진으로 잘 안 보이는데,손톱 반 만한 크기였구요 갈색이고 등 표면이 반질반질 해 보였어요. 갑자기 어디서 뚝 떨어진 것 처럼 나타났구 나는 건 못봤고 기어다니는 것만 봤어요. 그리구 계속 어두운 쪽으로 가려고 하는 것 같았구요. 에프킬라 범벅 시켜서 일단 죽은 것 같은데 처음 보는 벌레에요. 이 벌레 종류랑 혹시 바퀴벌레처럼 떼 지어서 사는 벌레인지 알고 싶어요. 

 

질문 2. 여름이라 그런지 갑자기 초파리가 엄청 생겼는데 어떻게 퇴치해야 할 지 알고 싶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정말 내다 버린다고 내다 버리는데 잠깐 놔둬도 금방 생겨서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어요ㅠ.ㅠ 그리고 초파리가 번식력이 엄청 좋다고 하는데 지금 있는 초파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퇴치법이 궁금합니다. 

 

질문 3. 또 갑자기 화장실에 있던 쓰레기통에서 벌레가 생긴 것 같은데 초파리만하고 초파리 처럼 많아요. 근데 갈색이고 나는 모양새가 둥둥 떠다니는 것 같은 게 초파리랑은 좀 다른 것 같아요. 일단 집에 있는 쓰레기통 다 비우고 하긴 했는데 완전 혐오네요.... 이거 어떤 벌레인가요? 어떻게 하면 완전히 퇴치할 수 있을까요?

 
 
 
 
첨부된 사진상의 해충 형태가 선명하지 않아, 정확한 해충종류 판단이 어렵습니다.
 
 
 
초피리 성충은 에어졸을 살포해 잡아내면 그만이지만 이들의 유인원 및 산란처가 어디인지 파악해 제거하고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과일과 같이 당도가 높은 것이 있다면 비닐에 싸서 단내의 발산을 최소화하시고 냉장보관이 가능한 것은 냉장고에 넣어 초파리 유인을 원천 봉쇄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가급적 뚜껑이 있어 밀폐가 되는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싱크대 개수구 역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할 때마다 제거해 초파리의 유인을 막아야 합니다.
 
  
그리고 쓰레기통만 비웠을 시 내부에 묻어 있는 유기물이 있을 수 있으니 최소 1주일에 1회는 중성세제로 내부를 닦아 내시면 초파리 유인 및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실 겁니다.
 
 

답변일 2014.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