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jpg)
.jpg)
사진 3장 순서대로,
세탁기 호스 틈새에 끼어있는 알?유충? 사진.
주방 면적과 구조를 알려드리기위한 사진.
알인지 유충인지 어쨌든 저놈들 몇마리를 휴지위에 올려놓은사진. 입니다.
원래 저 자리에 종이박스와 쓰레기봉투가 있었습니다. 제가보기에도 그게 원인이었네요.
쓰레기봉투를 원점으로 박스 안에 알+움직이는 구더기같은게 엄청나게 있더라고요
게다가 저 세탁기 호스를 들고 탁탁탁 털어봤더니 후드득 후드득 셀수도없이 떨어졌고요.
현재 저의 대처는 ㅡ 쓰레기봉투와 박스채로 들고나가 쓰레기장에 버렸고요,
주방 바닥전체를 휴지 둘둘 말아서 저놈들을 쓱쓱 쓸어서 밖에 버렸고,
세탁기 호스 틈새 최대한 털어내서 버렸는데 아직 깊은곳에 남아있을 확률도 있을거같고,
뿌리는 살충제(에F킬라) 를 주방 전체에 마구잡이로 뿌려놓은 상태입니다.
이후에 제가 해야할 조치는 무엇인지 궁금하고,
청소중 제 옷 속이라거나 몸에 저런게 하나라도 붙어있다면 저한테 해로울수 있나요?
말파리인가? 그거는 사람 피부에도 파고든다고하던데 바로 손씻고 샤워했는데도 불안하고 걱정되네요
목격한 것은 알이 아니라 참깨와 비슷하게 보이는 초파리의 번데기입니다.
실내로 침입한 초파리가 쓰레기봉투에 담긴 어떤 유기물에 유인되어 번식을 한 것으로 보이네요.
우선 참깨처럼 보이는 번데기를 최대한 제거하셔야 향후 발생하는 초파리를 보지 않을 수 있으니
쓰레기봉투를 놔두었던 장소 주변 및 부엌 등지를 한 번 더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초파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음식물쓰레기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해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 초파리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 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라 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초파리가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의 유인 및 추가 발생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참고로, 초파리는 생활사는
알(1일) --> 유충(구더기, 약 4일) --> 번데기(약7일) --> 성충이 되는데, 성충은 보통 3주 정도 생존하지요.
답변일 201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