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진드기문의
  • 작성자 황은진
  • 작성일 2013.12.10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제가이사온지 이제 딱 한달되었는데요..

돌연 문득 어느날 갑자기 스몰스몰 작은 벌레들이 나타났어요.

처음봤을땐 그릇들 근처에 있어서 그냥 초파리려니 생각했는데

두번째 방바닥에서 보고 이게 또있네 생각했죠

세번째 발견하고는 이게 날지도 않고 희끗한 갈색에 정체가 뭔지 궁금해졌어요.

네번째는 침대근처에서 봤는데 갑자기 소름이 끼쳤던 어제였어요....

이게 크기가 크지 않은게 더 끔찍한거 같아요..

언제어떡해 제 몸속에 들어갈것같은 생각을 하니 숨쉬기도 찝찝해지구요..

그래서 저 지금 잠이 안와요 ㅠㅠ 잠자면 입속으로 들어갈것같은 찝찝함이.... ㅠㅠ

괜히 몸이 간지러워진것같고 아토피가 날것같고 갑자기 기침이 나와야할것같은 기분이들어요.

인터넷 집진드기증상을 너무 많이읽었나봐요.

 

이게 크기로 봐서는 새끼개미도 아니고... 색깔도 진하지도 않고 날지도 않아요.

인터넷으로나온 집집드기사진은 둥글하게 생겼는데 얘는 좀 길쭉해요.

첨엔 초파리인줄 알았어요. 초파리처럼 생겼는데 크기는 너무작고 날지는 않으니...

집진드기 말이 많아서 그거인거 같은데 전 진드기를 눈으로 본적이 없어요 ㅠㅠ

머릿니도 태어나서 한번도 구경해보지 못한 도시인이에요.

사진을 찍고 싶어서 찾아보면 눈에 안띄고요... 잠들면 나올것같아요.

 

그래서 무턱대고 세스코 무료서비스 신청해놨는데...

이거 집에와서 진단해주시는건가요 아니면 설명으로 자가진단하게 하는건가요?

저는 우리집에 나타난 이 생명체 원인이 어디인지 알아내고 싶어요.

침대, 쇼파, 이불... 원인제공을 제집에서 없애야만 할것같은데 다 내다버릴순없잖아요ㅠ

이사온지 얼마 안되어 다 한달도 안된것들인데 말이죠 ㅠㅠ

 

진드기가 몸속에 들어가면 살아서 돌아다니는건아니죠?

 

집먼지진드기는 육안으로 구분되는 해충은 아닙니다.

설명해주신 내용으로는 진드기보다는  다듬이벌레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다듬이벌레는 주로 습하고 따뜻한 곳을 선호하며 잡식성으로 균류(곰팡이), 꽃가루, 마른 식물, 곡물가루, 곤충의 시체, 분진, 먼지까지

다양하며 주요 서식처로는 서적, 습한 바닥, 배관틈새, 벽 틈새, 석고보드, 목재 등으로 소수가 있을 때는 워낙 작아 눈에 띄지 않다가

지속적인 번식을 통해 서식 밀도가 높아지면 그제서야 눈에 띄는 경향이 있습니다.

 

성충 한 마리가 평균 20개의 알을 낳고, 평균 20일 정도면 알에서 부화하며,

유충이 약 한달, 성충은 3개월 이상 생존합니다만 습도만 50% 이하로 낮춘다면 쉽게 제어가 가능합니다.

 

습도 제어와 동시에 먹이원 제거를 위해 곰팡이(제일 좋아하는 먹이)가 발생한 장소를 찾아 제거하고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먼지까지 완벽하게 제거해 먹이원을 차단하는 물리적인 방법이 있지만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신속한 제어를 위해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동시에 진행해야 급격한 밀도 감소를 꾀할 수 있습니다.

 

최초 발견된 장소를 중심으로 실내 전체에 대한 정밀 조사를 해 보세요. (가구류나 벽지 등에 대한 조사도)

 

혹시나 옷장 내부에서 발견이 된다면 이불이나 의류에 묻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일광소독 및 세탁을 하시고

내부는 에어졸을 이용해 틈새, 모서리에 골고루 약제를 처리하시기 바랍니다.

 

화장대와 같은 가구의 서랍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서랍을 빼고 그 내부까지 약제를 충분히 처리해야만 하며

빼낸 서랍 역시 모든 면에 약제처리를 실시해야 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을 때까지 일주일 간격으로 2~3회 반복한다면 알에서 부화하는 새로운 개체까지 확실하게 없앨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는 보일러 또는 에어컨 등을 가동해 습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시고

가구류 안쪽에 흡습제를 넣어 두시면 습도 조절에 도움이 될 겁니다.

답변일 201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