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에서 쓰는 행주에 생긴 벌레입니다.
깨소금 같이 생겼구요. 주로 주방과 쓰레기 놔두는 베란다에 이런 벌레들이 아주 많습니다.
며칠 집을 비우고 왔더니 물기가 다 마른 행주에도 저런 벌레가 생겨있네요.
씽크대 벽면에도 깨소금처럼 붙어있고... 쓰레기 놔두는 베란다에는 깨소금 뿌린것처럼 많습니다....
아파트에 살때는 본적이 없는데
주택에 사니깐 이런 벌레가 생기기 시작하네요... 이거 왜 생기는 벌레고... 퇴치하려면 어떻게해야되나요?
목격한 것은 깨소금이 아닌 초파리의 번데기입니다.
초파리가 침입 후 음식물쓰레기나 쓰레기통 또는 싱크대 거름망 등지에 산란 후 구더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번데기는 이미 유충 단계를 지났다는 것을 의미하고, 곧 초파리 성충이 나올 것이란 의미도 됩니다. ㅡㅡ;
우선 참깨처럼 보이는 번데기를 최대한 제거하셔야 향후 발생하는 초파리를 보지 않을 수 있으니
쓰레기통, 싱크대 및 부엌 전체 한 번 더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초파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음식물쓰레기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해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
초파리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 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라 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초파리가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의 유인 및 추가 발생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혹시 행주의 세척이 완전하지 않아서 그랬을 수도 있습니다.
살균 소독을 실시해보시고, 설거지나 행주 등을 세척하지 못하고 나가야 하는 일이 생길 경우에는
설거지 통에 중성세제를 푼 후 담가 두면 파리류의 유인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답변일 2013.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