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파리가 어디서 생기는지 모르겠는데 제 생각에는 화장실이 거의 확실한 거 같거든요?ㅠㅠ
정말 너무 스트레스 받아요 ㅠㅠㅠㅠㅠㅠ 약도 쳐보고 락스로도 해보고 뜨거운 물로도 해봤는데
사라지지도 않고 눈에서 알짱거려요.......... 수가 줄지도 않아요..
약치고 나면 바닥이 걸을 수가 없을 정도로 시체들이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하 .........락스처리하다가 손에 다 묻어서 손에서 락스 냄새도 안지워지고....
완전 미칠거같아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친구가 알려준 초파리트랩이라고 매실액 + 식초해서 비닐에 구멍
뚫어서 잡는 것도 해봤는데 왜 저는 한마리도 안잡힐까요..............
초파리가 과일 음식물쓰레기때문에 생기는 애들이 아닌거 같아요
눈이랑 몸 모두 꺼먼색이더라구요
그리고 집에 음식물쓰레기할만한건 없다고 볼 수 있는데 생기는 거 보면 하수구에서 올라오는 거 같은데
매일 뜨거운 물 붓고 약 처리해도 자꾸 나와요........... 자취해서 원룸이라 그런지 화장실 문 닫아놔도 문틈새
로 나와서 책상까지 와서 눈 앞에 알짱거리고 ㅠㅠ
세스코에서 초파리는 해당사항이 아니라고 하던데.. ㅠㅠ 어떻게 안될까요?
아 혹시나 해서 적는 건데 자취방 벽에 금이 가서 곰팡이가 슬어 있어요.. 집주인이 고쳐준다고 말만하고
안고쳐준지 2년째.. 한두번 사람이 와서 고치는 시늉은 했는데 결국 물이 계속 새더라구요 혹시
이런것 땜에 생길까요?ㅠㅠㅠㅠㅠㅠ
+++ 초파리 없을 때는 집에 쥐며느리는 아닌데 지네도 아니고 발 많은 애가 가끔 기어다녀요
건물이 새 것이 아니라 그런지 이 동네가 곱등이도 많은 곳이라고는 하던데 ㅠㅠ
에프킬라 초파리싹도 삼일만에 두통 썻어요............ 살충젠지 살인젠지..ㅠㅠ 목아프네요.........
혹시 초파리제거 도와주실 수 잇을까해서 무료진단 신청은 해두었는데..
너무 스트레스 받아서 여기 글도 올려요 ㅠㅠㅠ
설명해주신 내용으로는 꼽추파리나 나방파리가 의심이 되는데요... 초파리라고 콕 찝어서 말씀해주셨으니
우선 세가지 다 말씀드리겠습니다.
초파리는 음식물 쓰레기통, 쓰레기통, 싱크대, 개수구, 가스렌지 주변, 냉장고, 전제렌지 주변 등 일반적으로 노출된
유기물이 있는 곳 말고 미처 찾지 못한 다른 어딘가 찾지 못한 장소에서도 발생이 가능하니꼼꼼히 신경 써서 찾아 제거하는 것이 좋고요.
앞으로 초파리의 추가 침입이 있더라도 번식을 하지 못하게 하고자 한다면 사용 중인 음식물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용기를 사용해
뚜껑을 꽉 닫아 두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통, 일반 쓰레기통 및 싱크대(개수구) 등에 대한 솔질 청소도 주기적으로 해야 합니다.
쓰레기만 버릴 경우 쓰레기통 내외부 주변에 퇴적된 유기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알이나 초파리 유충이 남아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거든요.
싱크대를 깨끗이 해놓는 것만이 아닌 싱크대 배수망을 꺼내 그 내부까지 정말 깔끔하게 닦는 것이 좋고요.
유기물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밀폐 관리하고, 청소를 하느냐가 초파리 제어의 관건입니다. ^^;
(외부 침입의 경우에는 출입문, 창문 등에 대한 관리도 추가해야 합니다.)
꼽추파리의 경우에는 (초파리는 당분이 많은 장소, 발효가 진행되는 곳에서 주로 발생) 유기물이 부패하는 장소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실내에서 다수 목격된다면 싱크대 배수구나 싱크대 주름 관이 바닥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문제로 생각할 수 있으니
싱크대의 경우 물을 사용할 때만 열리는 트랩을 구입해 사용하시고 싱크대 하단 가림 판을 제거해
바닥으로 주름 관이 연결되는 부분은 쿠킹 호일을 이용해 감싸 보세요. 그 동안 이 장소가 문제였다면 보완하는 즉시 효과가 나타날 겁니다.
보완을 하였는데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유기물이 퇴적되어 부패가 진행될 수 있는 곳이 (베란다에 화초를 기를 경우 비료
또는 화분 또는 화분 물 받침대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베란다 등지에 있는 하수구나 수직낙하홈통 등을 통해 올라올 수 도 있습니다.)
또 어딘가 생각해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청소 또는 밀폐)를 취하시면 됩니다.
나방파리는 반드시 중성세제와 브러쉬 또는 수세미 등을 가지고 화장실 내부의 물과 접촉하는 모든 면에 생긴
유기물(물 때)을 제거해야 합니다. (2~4주 간격으로 실시)
청소 이후에 욕조, 세면대, 양변기, 수도배관, 벽면 타일 틈새, 바닥 모서리 틈새 유무를 확인하고
실리콘으로 밀폐하면 좋고요. 하수구가 의심될 경우에는 배수망을 걷어 내고, 못 쓰는 칫솔 등을 활용해 내부를 최대한 닦아 내면
주말에 집에 다녀와도 그 동안 심심했다고 반겨주는 나방파리는 없어질 겁니다. ^^;
답변일 2013.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