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벌레 이름이 뭔지 좀 알려주세요ㅠㅠ
  • 작성자 김수인
  • 작성일 2013.06.26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이 벌레 이름이 뭔지 좀 알려주세요ㅠㅠ

사진은 잡고 나서 찍은거라 좀 짜부라졌는데 크기는 3~4mm정도 되고요

잡으면 머리가슴배 나눠진거 확실히 보이고

전체적으로 검은색에 배안쪽부분만 좀 황토색?으로 되어있어요.

날개 있어서 날아다니고 뒷다리가 유독 길어요.

음식물있는데나 싱크대 이런데에 몰려있는게 아니라 그냥ㅠㅠ 막 방안을 활개치면서 날아다녀요ㅠㅠ

에프킬라 뿌리면 막 후드득 떨어지진 않고 움직임이 좀 느려져서 뿌리고 잡고 있는데요

이름이 뭔가요ㅠㅠ

약 안먹으면 되게 빨라요. 제가 굼떠서 약 안먹으면 잘 못잡아요.

초파린줄 알았는데 초파리보다는 크고 눈이 붉지도 않아요.

저희 집은 1층 원룸이라 습기가 좀 차는 편이고

겨울부터 살았는데 신축이라 그 전에는 벌레가 나온 적 한번도 없었어요.

밤에 불 꺼놓고 핸드폰 켜놓으면 막 달려드는게 불빛에 민감한 것 같아요.

나타난지는 한 1주일 됐는데

그 전에는 신경 별로 안썼는데 숫자가 점점 느는건지 제가 신경쓰고 잡으려고 하니까 많이 보이는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오늘은 한 20마리 잡은 것 같아요ㅠ

어제 한 10마리 쯤 잡다가 나가봐야되서 에프킬라 뿌리고 나갔는데
밤 늦게 들어와보니 2~3마리 정도만 날아다니더라고요.

알까놓았을수도 있다는 말을 들어서 오늘 방바닥 깨끗이 청소하고 냉장고랑 싱크대 움식물쓰레기 비우고 혹시몰라서 고추장, 간장같은것도 다 냉장고 안에 넣어놓고 안심하고 있었는데 4시쯤 되니까 수가 늘어서 계속 잡았어요.

생각해보니 어제도 4시쯤에 수가 늘은 것 같아요.

음료수 캔은 방에 방치해 둔게 아니라 청소 끝나고 쉬고있는데 점점 늘어서 다 마시고 벌레 잡은거 통 안으로 밀어넣은 거에요ㅠㅠ

원룸을 깨끗이 관리한 편이 아니라서 방에서 번식중 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더 무섭네요ㅠㅠ

이름이 뭐고 해결방법이 뭔지 좀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사진이 작아 정확한 구분은 어려운데요..

초파리나 꼽추파리로 사료됩니다.   (초파리의 눈이 모두 붉은색을 띠는 것은 아닙니다. )

 

초파리는 음식물 쓰레기통, 쓰레기통, 싱크대, 개수구, 가스렌지 주변, 냉장고, 전제렌지 주변 등

일반적으로 노출된 유기물이 있는 곳 말고 미처 찾지 못한 다른 어딘가 찾지 못한 장소에서도 발생이 가능하니

꼼꼼히 신경 써서 찾아 제거하는 것이 좋고요.

 

앞으로 초파리의 추가 침입이 있더라도 번식을 하지 못하게 하고자 한다면

사용 중인 음식물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용기를 사용해 뚜껑을 꽉 닫아 두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통, 일반 쓰레기통 및 싱크대(개수구) 등에 대한 솔질 청소도 주기적으로 해야 합니다.

 

쓰레기만 버릴 경우 쓰레기통 내외부 주변에 퇴적된 유기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알이나 초파리 유충이 남아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거든요.

 

싱크대를 깨끗이 해놓는 것만이 아닌 싱크대 배수망을 꺼내 그 내부까지 정말 깔끔하게 닦는 것이 좋고요.

 

유기물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밀폐 관리하고, 청소를 하느냐가 초파리 제어의 관건입니다. ^^;

(외부 침입의 경우에는 출입문, 창문 등에 대한 관리도 추가해야 합니다.)

 

꼽추파리의 경우에는 (초파리는 당분이 많은 장소, 발효가 진행되는 곳에서 주로 발생) 유기물이 부패하는 장소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실내에서 다수 목격된다면 싱크대 배수구나 싱크대 주름 관이 바닥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문제로 생각할 수 있으니

싱크대의 경우 물을 사용할 때만 열리는 트랩을 구입해 사용하시고 싱크대 하단 가림 판을 제거해

바닥으로 주름 관이 연결되는 부분은 쿠킹 호일을 이용해 감싸 보세요.

 

그 동안 이 장소가 문제였다면 보완하는 즉시 효과가 나타날 겁니다.

 

보완을 하였는데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유기물이 퇴적되어

부패가 진행될 수 있는 곳이 (베란다에 화초를 기를 경우 비료 또는 화분 또는 화분 물 받침대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베란다 등지에 있는 하수구나 수직낙하홈통 등을 통해 올라올 수 도 있습니다.) 또 어딘가 생각해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청소 또는 밀폐)를 취하시면 됩니다.

답변일 2013.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