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해충 문의
  • 작성자 신정은
  • 작성일 2012.10.29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해충관련 문의드립니다.

 

http://blog.naver.com/tlsrla419/150150449944

 

비회원 문의글이라서 그런지 사진첨부가 안되더라구요 ㅠ

블로그에 올리고 이렇게 문의드려요

 

첫번째 사진은 직찍인데. 이런게 요근래 몇마리씩 보여요

죽어있는 시체도 보이고

풍뎅이같이 생겼는데 0.2cm정도의 아주 작은 사이즈입니다

개미와 비슷한 속도로 천천히 꼬물거리며 이동합니다.

 

그리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문제의 벌레는 제가 사진을 찍지 못하는 바람에

인터넷에서 검색했는데

얼추 느낌은 비슷해요

엄연히 따지자면 더듬이 길이랑 색깔정도

제가 벌레를 잡은게 아니라서 제대로 못봤어요 ㅠㅠㅠ

 

천장 전등을 주위로 두마리가 나란히 붙어있었는데

30분동안 뚫어져라 관찰을 했는데

정말 천천히 움직이구요

천장에 똥같은 점 하나를 쌌고

첫인상은  바퀴였는데 찬찬히 뜯어보니 바퀴가 아닌듯했어요

어쩌면 바퀴가 아니길 바라는 저의 간절함으로 인한 착각일수도 ..ㅠㅠ

 

확실한거는

일반적 독일바퀴보단 비슷하거나 조금 컸구요

먹바퀴는 제가 자취시절 많이 봐왔는데(엄지손가락만하고 혐오스러운 종족들 ㅠㅠ)

먹바퀴는 확실히 아니었어요

 

몸이 바퀴가 길쭉한 타원형에 가깝다면

그건 조금더 짜리몽땅하고 원형에 가까웠어요

살찐 타원형의 느낌?...

 

사진을 못찍는 바람에 정신없는 설명이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ㅠㅠ...

첫번째 사진은 저장식품해충 중 쌀바구미라고 부르는 종류입니다.

 

저장식품해충에 속하는 쌀바구미는 주로 쌀에서 생기기 때문에 쌀을 먼저 점검해 보세요.

 

일단 그늘진 곳에서 신문지를 깔고 그 주위로는 박스테이프를 양면으로 붙여 놓은 후 쌀을 펼치고 고르세요.

 

성충/유충/엉겨있는 쌀 등을 제거하면 되고, 고르는 동안 이 곳 저 곳에서 꿈틀거리는 유충이나 성충을 볼 수 있는데,

눈에 띄는 즉시 제거하시면 되고 또 미처 보지 못한 녀석들이 있더라도 신문지 주위에 붙여둔 박스테이프에 포획될 겁니다.

 

쌀 포대가 있었다면 폐기하고 선별한 쌀은 용기 등에 담아 냉동/냉장 보관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쌀을 한 번 골랐으나 알이나 아주 작은 유충은 선별할 수 없기 때문에 상온에 보관하면 다시 발생하거든요.

 

냉동/냉장 관을 통해 알의 부화나 유충의 발육을 제어한다면 쌀을 다 드실 때까지 추가 발생은 없을 겁니다.

 

쌀통이라면 중성세제와 수세미 등을 이용해 내부, 모서리, 틈새 등을 꼼꼼이 닦아 내시고

며칠 빈 상태로 두어 추가로 목격되는 것이 없는 지 확인하고 재사용하면 됩니다.

 

쌀바구미 성충이나 유충이 제거되지 않더라도 쌀을 세척하면서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뜨게 되지만

쌀에 엉겨 붙어 있었다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밥이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인체에 큰 해는 주지 않으니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발원지를 기어 나와 돌아 다니는 유충이나 성충은 목격 즉시 제거해도 되며 의심지역에는

에어졸을 살짝 처리해 놓는 것도 한 방법이 됩니다. *^^*

 

혹시나 쌀이 아닌 1차 가공식품류 (밀가루, 부침가루, 빵가루, 땅콩, 비스킷, 코코아, 커피, 시리얼, 당근, 후추, 씨앗류,

건과류<바나나, 파인애플 등 과일 말린 것>, 말린 꽃, 허브, 땅콩, 애완동물 사료, 가죽, 실크, 곤충사체 및 가구 등)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이 될 경우, 비교적 소량일 경우가 많으니 그대로 폐기하고, 보관되었던 장소 주변을 정리해

최대한 유충, 성충을 제거한다면 점차 감소할 겁니다.

 

 

두번째 문의 건에 대해서는  설명해주신 내용만으로 어떤 벌레인지 확인이 어렵습니다.

 

바퀴벌레일 가능성도 있지만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전혀 다른 곤충일 수도 있습니다.

 

우선 바퀴끈끈이를 구입해 설치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바퀴끈끈이를 목격된 장소 주변에 설치해 포획한 후 사진을 다시 한 번 촬영해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답변일 2012.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