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해충관련 문의(2012.10.03 밤 이미지 삽입)
  • 작성자 박희상
  • 작성일 2012.10.04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안녕하십니까?

화장실에서 자주 봤으며, 집에 나타난지는 한 달에서 수 개월 이상 된 것 같습니다.

4~7세 어린이가 있는데, 어린이를 문다든지, 균을 전파한다든지 하는 

해로움이 없는지, 박멸할 방법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아래는 벌레의 사진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serfiles/image/file/20121004_IMG147_%EB%B2%8C%EB%A0%88%EB%AA%A8%EC%8A%B51.jpg

 

 

 

 

사진 속의 곤충은 독일바퀴 유충으로 확인됩니다. 

 

바퀴벌레가 전파하는 병원체는 흑사병, 나병, 장티푸스, 위장염, 콜레라, 뇌척수염, 폐렴,

 

디프테리아, 파상풍, 결핵, 간염 등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연충, 원충과 같은 병원체 등이 있기 때문에 

 

빠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화장실에서 자주 목격되면서 집 전체에서 종종 보이는 건가요?

 

화장실이 문제라면 천정(모서리, 전등 전선 틈새 등)이나 환기구 등이 침입 경로일 수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실리콘, 모기장 등을 활용해 틈새를 보완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벽면 수납장 같은 것이 있다면 그 뒤쪽에서 서식할 수 있으니 분리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고요.

 

타일과 타일 사이의 하얀 부분을 줄눈이라고 하는데, 이 줄눈이 떨어져 있거나 금이 간 곳이 있을 경우에도

 

그 틈새를 들락 날락 하면서 서식이 가능하니 실리콘 등으로 반드시 보완해야 합니다.

 

 

집 전체적으로 보이는 경우라면 바퀴끈끈이, 먹이약제를 사용해 제어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바퀴 방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음식물, 물, 서식처에 대한 집중관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진공청소기와 걸레를 이용한 청소를 하는데, 평소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두는 가구류에 대한 이동,

 

예를 들면 침대와 매트리스를 들어내고 하단부 / 측면까지 점검하고 청소를 실시하세요. 

 

(이런 고정된 장소 주변이 문제 장소(서식처)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집 안에서 음식물은 항상 냉장보관을 하시고,

 

음식물쓰레기 역시 밀폐된 상태로 보관하거나 즉시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을 사용해

 

먹이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 힘들면 저희에게 전화 주셔도 됩니다. *^^*

 

 

 

답변일 2012.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