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무슨벌레인진 모르겠지만 지속적으로 물리고있습니다.도와주세요.
  • 작성자 박인영
  • 작성일 2012.09.03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저희집에 이상한 벌레가 살고있습니다.

일단은 모기는 절대 아닙니다. 저희집에는 홈키파 뿌리고 콘센트꽂았는거랑 집충등?이랑 기타 5가지정도의 벌레잡는 벌레잡는 약들을 쓰고있습니다.

증상은..물리면 일단 엄청 가렵습니다..그리고 물린부위가 딱딱하며 물려서 올라오는 부위가 크기나 형태가 일정치가 않습니다..

그리고 가장 심각한건 물리고나서 가라 앉게되면 물린부위가 검은 반점처럼 남게됩니다..

물린지 몇달된 부위도 지금은 점처럼 남아서 없어지질않습니다.

저희집에 어머니랑 저랑 사는데 하루에도 5~10방 씩은 쏘이는것같습니다.

어찌나 영악한지..눈으로 한번도 확인된적이 없습니다.

제발 도와주세요..사진첨부합니다..

이건 물린부위구요..물리면 항상저렇진 않습니다..더클수도있고 더 작을수도있으면 모양이 틀릴수도있습니다

 

 

이건 물리고나서 며칠지난뒤 점으로 변해가는 반점입니다...

 

 

제발 도와주세요..ㅠ_ㅜ

 

무는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우선 병원 진료를 통해 의사의 진단을 받아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약제도 받으시고요.)

 

우선은 침개미나 진드기, 빈대, 벼룩, 이 등과 같은 흡혈 곤충의 서식이 의심되기는 합니다.

 

어떤 곤충인지 알고 싶다면 바퀴끈끈이를 의심 장소에 설치하거나 박스테이프로 침구류 및 주변을 붙여 가며 확인하면 됩니다.

(진드기는 흡혈을 마쳐 몸이 비대해진 후, 빈대/벼룩/이 등은 항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합니다.)

 

위 곤충 들이 실내에 있다고 확인된 후 약제처리도 중요하지만

이들 해충이 은신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물리적인 조치도 병행해야 빠른 제어가 가능합니다.

 

일광건조가 가능하다면 침구류와 매트리스 그리고 침구류, 의류를 일광건조 하세요.

 

불가능할 경우에는 매트리스의 경우에는 약제(에어졸)처리,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흡입 등의 방법을 실시 한 후,

두꺼운 비닐을 구해서 매트리스를 싼 후 박스테이프를 이용해 완벽하게 밀봉을 하시기 바랍니다.

(빈대의 경우 최소 30일 이상 놔둬야 굶어 죽습니다.)

 

나머지 세탁이 가능한 것(베게, 침구류, 의류 등)은 모두 세탁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약제처리는 침대 틀과 침대 부근에 있는 탁자, 그리고 베이스보드 등 은신이 가능한 모등 장소, 틈새에 해야 합니다.

 

카펫이 있는 경우 카펫 전체에 대한 약제처리는 고려해 보셔야 하겠지만 에어졸 향기가 오래 지속될 수 있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니 진공청소를 우선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진공청소기는 최대한 강하게 작동해 흡입을 하고 먼지봉투나 별도의 공간이 있는 제품은 즉시 폐기하거나

세척을 통해 다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흡혈 증상이 완전하게 없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야 합니다.)

 

침개미과는 소수의 집단이 고목의 뿌리 근처 또는 낙엽 속에 서식한다고 하지만 종종 실내에서 서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이건 해당 장소는 어둡고 습도가 높은 음습한 지역이기 때문에 환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낮추시기 바라며

침개미의 경우 먹이약제에 의한 방제로서는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부득이하지만 살충제(에어졸 등)를 이용하여 퇴치를 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실내 곳곳에서 보이고 있으면서 주 서식처가 확인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원터치형 에어졸을 구입해

1~2주 간격으로 2~3회 처리해 제어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원터치형 에어졸을 사용할 경우에는

작동 후 즉시 외부로 이동하시기 바라며, 1~2시간 이후 충분한 환기를 시키고 약제가 묻은 부분에 대해서

중성세제와 걸레를 이용해 닦아내는 청소를 해야 합니다.

답변일 2012.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