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날파리, 구더기가 나왔어요
  • 작성자 김수연
  • 작성일 2012.08.27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단독주택이고요,
담너머로 풀밭이 있다보니 평소에 벌레가 좀 있어서 문을 잘 닫고 다녀요.

(밤에 밖에 큰바퀴 날아다니고, 사마귀, 귀뚜라미, 무당벌레, 각종 날벌레,
마당에 거미몇마리 동거중 ㅋ 곱등이도 마당에 종종 보임...)


아무튼...그래도 집안에는 벌레를 잘 못보는데

이번에 거실에 둔 양파가 썩어서 쪼그만 구더기가 많이 생겼어요...ㅠㅠ


전 너무 작아서 안보였는데, 친구가 제방 놀러왔다가 이불위에 구더기가

있다고해서 한참보니까 꼬물거리는게 있더라고요. 이불에 서너마리 있었음...둘다 놀래갖고..

방에 음식을 두는 경우가 없어서, 대체 어디서 들어왔나하고 

핸드폰 불 켜서 찾아보니, 원인은 거실한쪽에 둔 양파망...


양파망 주변에 쪼끄만 날파리들 날아다니고, 밑에 구더기들이 드글드글...

이미 거실 여기저기 다 기어다니고 있었는데 쪼끔해서 안보이니까 전 몰랐음 ㅠㅠㅠ

몇일부터 그랬는지도 모르겠고요. 제 발타고 제방까지 온걸까요?? 제방와서 이불에 알깐걸까요...


날파리는 진짜 쪼끔한데...하루살이처럼 크기도 작고 거의 개미한테 날개가 붙어있는것처럼

생겼어요. 구더기가 걔네들 유충이었을까요?

제방 이불, 매트, 베개는 그대로 들어서 갖다버렸고요.

해충제 사다가 6~7통은 집 방마다 다뿌리고, 버러지는 거실에있는것 눈에보이는데로

잡아서 휴지로 버리고, 락스물로 다시 닦고... 밤이라 잘안보이니까...


다음날 찍찍이 테이프(청소용 롤달린것) 사와서 방마다 다 훑었거든요.

그러니까 군데군데 깨처럼 끝부분이 약간 까맣고 연갈색으로 색이바뀐 구더기들이 테이프에

붙어 나오더라고요.ㅠㅠㅠㅠㅠㅠ끔찍했음...

그리고 또 해충제 더 사다가 몇통 더 뿌리고, 약국아저씨가 4주동안 지속된다는

해충제있대서 그거 사서 또 다 뿌리고...밤에 모기향 피워놓고 잤거든요...

이 벌레들이 과연 다 죽었을까요? 일단 눈에는 안보이는데...


구더기는 작아서 제눈엔 잘 안보이니까 안심이안되요ㅠㅜㅠㅠ 날아다니는건 확실히 안보여요.

제방 이불 다 버렸는데..혹시 어디 구석같은데로 들어가서 못잡으면 어카요?


얘네는 먹을게 없어도 몇일동안 살수있나요?

저희집이 거실이든 부엌이든..음식을 아예 밖에 안두고 음식물쓰레기통도 이틀마다 청소해서

마당에 두기때문에ㅠㅠㅠㅠ이런경우가 없었는데...예전에 매실액담궈서 실패했을때 한번 이랬음...

그때도 방마다 퍼지진 않았어요...

이건 금요일 밤에 있었던일에요. 주말동안 미친듯이 청소하고 약뿌렸는데...

도와주세요 제발! 불안해서 잠을 못자겠어요!!

초파리 또는 꼽추파리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초파리는 음식물 쓰레기통, 쓰레기통, 싱크대, 개수구, 가스렌지 주변, 냉장고, 전제렌지 주변 등

일반적으로 노출된 유기물이 있는 곳 말고 미처 찾지 못한 다른 어딘가 찾지 못한 장소에서도 발생이 가능하니

꼼꼼히 신경 써서 찾아 제거하는 것이 좋고요.

 

앞으로 초파리의 추가 침입이 있더라도 번식을 하지 못하게 하고자 한다면

사용 중인 음식물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용기를 사용해 뚜껑을 꽉 닫아 두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통, 일반 쓰레기통 및 싱크대(개수구) 등에 대한 솔질 청소도 주기적으로 해야 합니다.

 

쓰레기만 버릴 경우 쓰레기통 내외부 주변에 퇴적된 유기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알이나 초파리 유충이 남아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거든요.

 

싱크대를 깨끗이 해놓는 것만이 아닌 싱크대 배수망을 꺼내 그 내부까지 정말 깔끔하게 닦는 것이 좋고요.

 

유기물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밀폐 관리하고, 청소를 하느냐가 초파리 제어의 관건입니다. ^^;

(외부 침입의 경우에는 출입문, 창문 등에 대한 관리도 추가해야 합니다.)

 

꼽추파리의 경우에는 (초파리는 당분이 많은 장소, 발효가 진행되는 곳에서 주로 발생) 유기물이 부패하는 장소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실내에서 다수 목격된다면 싱크대 배수구나 싱크대 주름 관이 바닥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문제로 생각할 수 있으니

싱크대의 경우 물을 사용할 때만 열리는 트랩을 구입해 사용하시고 싱크대 하단 가림 판을 제거해

바닥으로 주름 관이 연결되는 부분은 쿠킹 호일을 이용해 감싸 보세요.

 

그 동안 이 장소가 문제였다면 보완하는 즉시 효과가 나타날 겁니다.

 

보완을 하였는데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유기물이 퇴적되어

부패가 진행될 수 있는 곳이 (베란다에 화초를 기를 경우 비료 또는 화분 또는 화분 물 받침대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베란다 등지에 있는 하수구나 수직낙하홈통 등을 통해 올라올 수 도 있습니다.)

또 어딘가 생각해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청소 또는 밀폐)를 취하시면 됩니다.

답변일 2012.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