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이요 ㅠㅠ
  • 작성자 문수현
  • 작성일 2012.08.19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몇주 전부터  벌레에게 물리기 시작했습니다.

1층에 살지만 집안에서 벌레에게 물려서 고생인건 처음이네요

대략 어떤벌레이고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알려주세요,

 

증상.
모기물린것처럼 부풀고 가려워집니다.


환경
집은 1층 아파트이고 배란다 앞에 화단이 있음
개를 키움[하지만 벌레때문에 고생은 이번이 처음]
집에 권연벌레인지 애수시렁이인지 목격됬고 화장실에서 가끔 곱등이 출연
바퀴벌레와 개미 없음

소리소문 없이 물리고 정체또한 모릅니다...

온 집안사람들이 고생이네요..

근데 아파트 화단 구경하면 보면 어느새 비슷한 증상으로 물린적이
몇번있어서 밖에 화단에 사는 벌레가 집으로 유입된거 같은데요..
화단에 길고양이 몇마리가 있긴해요

{하지만 만지지는 않아요}

도데체 어떤벌레인지[대략적으로 의심가는 것들이라도]
퇴치방법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권연벌레랑 애수시렁이랑 둘다 사람을 무나요?
 목격한지도 얼마 안됬고
그 벌레를 본담부터 물리는거 같아서요

권연벌레 애수시렁이 둘을 구별하는 방법이 뭐죠?


비가와서 그런건지..
여름이 가면 괜찮아 질까요?

 

우선 병원 진료를 통해 의사의 진단을 받아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약제도 받으시고요.)

 

우선은 침개미나 진드기, 빈대, 벼룩, 이 등과 같은 흡혈 곤충의 서식이 의심되기는 합니다.

 

어떤 곤충인지 알고 싶다면 바퀴끈끈이를 의심 장소에 설치하거나 박스테이프로 침구류 및 주변을 붙여 가며 확인하면 됩니다.

(진드기는 흡혈을 마쳐 몸이 비대해진 후, 빈대/벼룩/이 등은 항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합니다.)

 

위 곤충 들이 실내에 있다고 확인된 후 약제처리도 중요하지만

이들 해충이 은신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물리적인 조치도 병행해야 빠른 제어가 가능합니다.

 

일광건조가 가능하다면 침구류와 매트리스 그리고 침구류, 의류를 일광건조 하세요.

 

불가능할 경우에는 매트리스의 경우에는 약제(에어졸)처리,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흡입 등의 방법을 실시 한 후,

두꺼운 비닐을 구해서 매트리스를 싼 후 박스테이프를 이용해 완벽하게 밀봉을 하시기 바랍니다.

(빈대의 경우 최소 30일 이상 놔둬야 굶어 죽습니다.)

 

나머지 세탁이 가능한 것(베게, 침구류, 의류 등)은 모두 세탁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약제처리는 침대 틀과 침대 부근에 있는 탁자, 그리고 베이스보드 등 은신이 가능한 모등 장소, 틈새에 해야 합니다.

 

카펫이 있는 경우 카펫 전체에 대한 약제처리는 고려해 보셔야 하겠지만

에어졸 향기가 오래 지속될 수 있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니 진공청소를 우선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진공청소기는 최대한 강하게 작동해 흡입을 하고 먼지봉투나 별도의 공간이 있는 제품은 즉시 폐기하거나

세척을 통해 다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흡혈 증상이 완전하게 없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야 합니다.)

 

침개미과는 소수의 집단이 고목의 뿌리 근처 또는 낙엽 속에 서식한다고 하지만 종종 실내에서 서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이건 해당 장소는 어둡고 습도가 높은 음습한 지역이기 때문에

환기를 통해 실내 습도를 낮추시기 바라며 침개미의 경우 먹이약제에 의한 방제로서는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부득이하지만 살충제(에어졸 등)를 이용하여 퇴치를 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실내 곳곳에서 보이고 있으면서 주 서식처가 확인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원터치형 에어졸을 구입해

1~2주 간격으로 2~3회 처리해 제어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원터치형 에어졸을 사용할 경우에는

작동 후 즉시 외부로 이동하시기 바라며, 1~2시간 이후 충분한 환기를 시키고 약제가 묻은 부분에 대해서

중성세제와 걸레를 이용해 닦아내는 청소를 해야 합니다.

 

참 , 권연벌레나 애수시렁이는  저장식품해충에 속하는 곤충으로 사람에게 직접적인 가해를 하는 곤충은 아니고,

저장(보관)된 먹거리를 오염시켜 재산상의 손해를 끼치는 곤충입니다.

답변일 2012.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