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다시문의합니당
  • 작성자 박지현
  • 작성일 2012.08.18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저희집에 자꾸 날파리??하루살이같은게

불켜진 천장전등 아래 바닥에 수십마리씩 죽어있습니다ㅠㅠ

치우고 또 치워도 날아가다 죽고 아무튼 계속죽어서 그부분만 벌레죽은게 엄청많이쌓여잇는데

ㅠㅠㅠㅠㅠ이거왜이러는거죠ㅠㅠ징그러워요 도와주세요ㅠㅠㅠㅠㅠ

세스코 답변
-

 

사진을 올려주셨으면 어떤 벌레인지 확인이 가능했을텐데요..

 

우선 등으로 몰려드는 벌레라면..불빛을 보고 날아드는 벌레로 사료되는데요..

 

드넓은 장소에서 발생해 야간에 불빛을 보고 달려 드는 곤충을 제어하는 방법은 딱히 없습니다.

 

1차적으로는 다른 집보다 조명을 최소로 사용하시고요. (그렇다고 촛불을 켜 두고 계시면 안 됩니다. ㅡㅡ^)

 

출입문 여닫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보통 창문에 설치된 방충망이 24mesh이나 30mesh 이상 되는 제품으로 교체 사용하며,

창문과 창틀의 상, 하단 틈새를 문풍지를 사용해 적절히 보완한다면 침입을 다소 낮출 수 있습니다.

 

통풍을 목적으로 현관문을 열어 두어야 한다면, 현관출입문에 방충문(30mesh 이상)을 설치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그런데...설마.. 초파리류는 아니지요 ?

 

 

라고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ㅠㅠ..

아니에요 세스코님이 모르실수가 없을정도로 꼭 저희 집뿐만아니라 아주 어딜가든 빈번하게 목격되는 파리떼죽음인데

이게 제가 놀란게 집안에서는 이런일이 없었는데..

으앙항가..그리고 네 초파리 맞거 같아요 아주아주 작은.. 초파리..하루살이 처럼 생겼는데 지금보니까 초파리같아요..

왜자꾸 등쪽으로 날아갔다 죽는거에요..

안가면 되는데 바보..

얘네 어떻게하죠 불을끄고살수도 없고.. 방충망을 갈아야하나요

여태 이런적이 없었는데ㅠㅠ

 

초파리류인거 같다고 하시니..

여름철 실내에서 가장 발생하기 쉬운  초파리와 꼽추파리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초파리는 음식물 쓰레기통, 쓰레기통, 싱크대, 개수구, 가스렌지 주변, 냉장고, 전제렌지 주변 등

일반적으로 노출된 유기물이 있는 곳 말고 미처 찾지 못한 다른 어딘가 찾지 못한 장소에서도 발생이 가능하니

꼼꼼히 신경 써서 찾아 제거하는 것이 좋고요.

 

앞으로 초파리의 추가 침입이 있더라도 번식을 하지 못하게 하고자 한다면

 사용 중인 음식물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용기를 사용해 뚜껑을 꽉 닫아 두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통,

일반 쓰레기통 및 싱크대(개수구) 등에 대한 솔질 청소도 주기적으로 해야 합니다.

 

쓰레기만 버릴 경우 쓰레기통 내외부 주변에 퇴적된 유기물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알이나 초파리 유충이 남아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거든요.

 

싱크대를 깨끗이 해놓는 것만이 아닌 싱크대 배수망을 꺼내 그 내부까지 정말 깔끔하게 닦는 것이 좋고요.

 

유기물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밀폐 관리하고, 청소를 하느냐가 초파리 제어의 관건입니다. ^^;

(외부 침입의 경우에는 출입문, 창문 등에 대한 관리도 추가해야 합니다.)

 

꼽추파리의 경우에는 (초파리는 당분이 많은 장소, 발효가 진행되는 곳에서 주로 발생) 유기물이 부패하는 장소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실내에서 다수 목격된다면 싱크대 배수구나 싱크대 주름 관이 바닥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문제로 생각할 수 있으니

싱크대의 경우 물을 사용할 때만 열리는 트랩을 구입해 사용하시고

싱크대 하단 가림 판을 제거해 바닥으로 주름 관이 연결되는 부분은 쿠킹 호일을 이용해 감싸 보세요.

 

그 동안 이 장소가 문제였다면 보완하는 즉시 효과가 나타날 겁니다.

 

보완을 하였는데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유기물이 퇴적되어

부패가 진행될 수 있는 곳이 (베란다에 화초를 기를 경우 비료 또는 화분 또는 화분 물 받침대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베란다 등지에 있는 하수구나 수직낙하홈통 등을 통해 올라올 수 도 있습니다.)

또 어딘가 생각해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청소 또는 밀폐)를 취하시면 됩니다.

답변일 2012.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