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벌레 이름, 생성원인, 퇴치방법 알려주세요~
  • 작성자 정지운
  • 작성일 2012.06.01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부엌에서 많이 보이구요

제방이 부엌이랑 베란다 하나 끼고 연결되있는데

제 방에도 꽤 나타납니다.

 

크기는 한 4mm 되는거 같아요. 특이한게 몸통이 3부분인데 꼬리 부분에 벌처럼 줄무늬같은게 있어요.

제 방엔 쓰레기 이런건 없구요.

부엌이랑 연결되는 뒷베란다가 빨래,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 보관하는 곳이라 그게 좀 걸려요.

 

벌레 이름이 뭔지, 왜 생기는지, 어떻게 퇴치하는지(제일중요) 알려주세요 ㅠ

 

 

 

초파리가 발생한 경우로 초파리의 침입 경로는 구입한 과일 등에 이미 초파리의 알이나 있는 경우와 

 

외부에서 출입문, 창문 등으로 침입한 후 과일이나 음식물 또는 쓰레기통 등 유기물이 존재하는 곳에

 

산란하고 대량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뒷베란다가 가장 의심되는 장소입니다. ㅡㅡ^)

 

 

 

먼저 과일 등에 묻어 들어오는 것이 있을 수도 있으니 구입 후 보관 중에는 봉투 안에

 

밀폐해서 보관하면 초파리가 내부에서 발생하더라도 쉽게 제어가 되며, 또 외부에서의 유인을 막을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음식물)쓰레기 등의 냄새를 맡고 침입하는 경우를 제어하기 위해 창문, 출입문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물론 유인되기 이전에 음식물쓰레기통이나 일반쓰레기통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두 종류 모두 내용물을 비워 내기만 해서는 안되고요, 정기적으로 내외부를 수세미와 중성세제를 가지고

 

묻어 있는 유기물을 닦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통은 뚜껑이 있어 차단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젓갈 통이나 고추장, 된장 통(4kg 용량?)과 같은 뚜껑이 있으면서 밀폐가 가능한

 

용기를 구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냄새 발산도 없앨 수 있고, 밀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초파리 등의 날파리가 내부로 들어가 대량번식하기 어렵거든요.

 

음식물쓰레기, 일반 쓰레기, 재활용 쓰레기 모두 하절기에는 밀폐가 가능한 통에 담아두면서

 

음식물쓰레기의 경우에는 즉시 외부로 배출하면서 주기적으로 닦는 절차만 지킨다면 

 

초파리는 쉽게 제어될 될 겁니다. *^^*

 

 

 

답변일 2012.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