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박멸 방법에 대해서 여쭙고자 합니다.
제가 사진을 찍고 싶었는데 이 벌레가 아주 날쌔고 가만히 있질 않네요.
그래서 다른 분들이 올려주신 사진을 잘 살펴본 결과 이 놈이 벼룩파리라고 추정하게 되었는데요.
일단 나방파리는 확실하게 아닙니다. 작년에 나방파리가 출몰했었는데 싱크대 아래 호스를
갈아버리고 나니 사라지더라구요. 나방파리랑 생김새도 다르구요.
욕실에는 이 벌레가 아예 없습니다. 가끔 날아다니다가 한 마리 정도 보이긴 하는데 거의 없어요.
처음에는 크기도 작고 그렇길래 초파리인 줄 알았습니다.
근데 제가 생명과학 전공 쪽이라 초파리를 관찰해 보았거든요.
이 파리를 잡아서 관찰해봤더니 초파리랑 좀 다르게 생겼어요.
닮았는데 비슷하달까;; 근데 간혹 잡을 때 보면 초파리도 섞여 있는 것 같구요. ㅠㅠ
2mm 정도 몸 길이구요. 음식물이나 특히 과일 깎아놨을 때 정말 미친듯이 날아다닙니다.
근데 진원지를 찾질 못하겠어요. ㅜㅜ 매일 식사할 때도 날아다니는데 정말 노이로제 걸릴 것 같아요.
이 놈이 가장 많이 출몰하는 건 베란다거든요.
일단 진원지를 뒷베란다로 예상하고 있어요.
저희 집 뒷베란다에 음식물 쓰레기통이랑 그 외 다른
쓰레기통도 같이 있어요. 뒷베란다에 나가보면 정말 벌레 세상입니다.;;
어림잡아 대략 100마리 정도 날아다니는 것 같아요. 이렇게 안 많을 수도 있지만...
좌우간 엄청 많아요. 음식물 쓰레기통이랑 쓰레기 봉투 근처에서 주로 날아다니구요.
그래서 음식물 쓰레기통도 항상 수분 제거해서 처리하고 빨리 갖다 버리거든요.
근데도 자꾸 나옵니다.;; 매일 뒷베란다 바닥 청소하는데 바닥에는 부패할만한 유기물이 없거든요.
이제 질문 드릴게요.
1. 이 경우 진원지로 생각할 수 있는 곳은 뒷베란다 배수구일까요?
2. 뒷베란다에 세탁기가 있는데 거기 근처에서도 발생할 수 있을까요?
3. 싱크대는 호스를 간 지 얼마 안 됐는데 여기서도 생길 수가 있을까요?
3. 벼룩파리와 초파리를 구제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알려주세요.
4. 벼룩파리나 초파리의 진원지로 짐작가는 곳도 모두 알려주세요.
제발 도와주세요. 이러다 파리 때문에 노이로제로 죽을 것 같습니다.
벼룩(꼽추)파리의 경우 유기물이 썩는(부패) 장소에서 발생합니다.
뒷베란다 배수구에 유기물등이 있을경우 발생 가능합니다.
실내에서 다수 발생한다면 싱크대 배수구나 싱크대 주름 관이 바닥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화장실 하수 배관 등이 문제일 수 있으며,
외부에서 발생한 개체가 비를 피하기 위해 건물 처마 밑 등지에서 은신하다가 출입문이나 창문을 통해 소수 침입했을 수도 있고요.
외부에서 침입하는 개체는 출입문의 신속한 여닫이와 창문의 밀폐도 향상으로 해결될 수 있습니다.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싱크대를 의심해 볼 수 있는데 우선 싱크대에서 물을 사용할 때만 열리는 트랩을 구입해
사용하시고 싱크대 하단 가림 판을 제거해 바닥으로 주름 관이 연결되는 부분은 쿠킹 호일을 이용해 감싸 보세요.
화장실 바닥 하수구는 칫솔 등을 사용해 최대한 닿는 곳까지 배관 내부의 유기물을 제거하시고
욕조나 세면대의 경우에는 마개를 닫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보완을 하였는데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유기물이 퇴적되어 부패가 진행될 수 있는 곳이 또 어딘가 생각해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청소 또는 밀폐)를 취하시면 됩니다 .
초파리는 주로 과실에 알을 낳으므로 과일파리라고도 불립니다.
따라서 과일과 같이 당도가 높은 것이 있다면 비닐에 싸서 단내의 발산을 최소화하시고
냉장보관이 가능한 것은 냉장고에 넣어 초파리 유인을 원천 봉쇄해야 합니다.
먹고 남은 과일껍질 등은 발생 즉시 비닐봉지로 완전히 밀봉하여 버려야 하며 발생 즉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면 더욱 좋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가급적 뚜껑이 있어 밀폐가 되는 용기를 사용하시고
싱크대 개수구 역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할 때마다 제거해 초파리의 유인을 막아야 합니다.
그리고 쓰레기통만 비웠을 시 내부에 묻어 있는 유기물이 있을 수 있으니
최소 1주일에 1회는 중성세제로 내부를 닦아 내시면 초파리 유인 및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실 겁니다.
날아다니는 성충초파리는 에어졸을 사용해 제거하시고 이들이 산란할 수 있는 장소를 깨끗이 정리하시는 것으로도 충분히 없앨 수 있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기 바랍니다.
답변일 2011.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