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휴지통 뒷편 보이시나요? 저 뒷편 아래쪽에 벌레가 생기네요...
여기서 별레가 생기네요...
제가 사는 곳은 주택이구요, 이사온지는 1년 반 정도 됐습니다.
작년 여름엔 벌레가 안 생겼었는데 올해는 이상하게 생기네요..
주방 쪽에 있는 휴지통에서 벌레가 생기네요..
근데 이상한게 정작 휴지통 안에는 별로 없는데
휴지통 주변에 더 생기네요...
너무 놀래 빨리 치우느라 사진은 찍지 못 했거든요.
가만히 보면 벌레 알 같기도 하구요, 움직이지는 않더라구요.
작고 하얀 깨소금같이 생긴 벌레 였어요.
보자 마자 경악을 금치 못하고 얼른 휴지통안에 쓰레기 봉투
갖다 버리고 휴지통이랑 뚜껑 락스로 빡빡 닦고
약국가서 에어로솔 사서 정말 무자비 하게 뿌렸습니다..
그런데도 안심이 안 되는거예요...
또 생길까봐... 더러운건 잘 안 버리는데 이상하게 벌레가 꼬이네요..
이상하게 저 뒷편에서 생겨요.. 또 벌레가 생길까봐
걱정이 되고 이러다가 노이로제 걸릴까 같아서 정말 죽겠습니다...
제발 또 안 생겨야 할텐데...
도저히 벌레가 생길때가 없는데 벌레가 생기니까 정말 미치겠습니다..
원인을 알 수 없을까요?
도와주세요.. 세스코...ㅠ-ㅠ
하얀 깨소금 같이 생긴 벌레는 바로 초파리입니다.
사진까지 찍어 주셨는데, 쓰레기통 주변에서 발생하는 것은 100% 초파리지요. ㅡㅡ;
쓰레기봉투에 담긴 어떤 유기물로 인해 초파리가 유인되어 산란하였고, 알이 부화 후 구더기가 목격되었을 겁니다.
이미 구더기는 최대한 제거하신 것 같은데, 전원 콘센트 모서리나 벽면 하단 몰딩 틈새 등지에 은신해 있는
구더기가 있을 수 있으니 한번 더 점검해 보시고, 보이지 않더라도 주변 틈새에 에어졸을 처리하면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어 나오는 일은 줄어들 겁니다.
향후 초파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음식물쓰레기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하여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야
초파리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 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라 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초파리가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
사진 속의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으나 틈새가 많아 밀폐 유지는 안되니
가급적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의 유인 및 발생을 막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일 201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