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신청 합니다 ㅠㅠ(혐오 사진 있으니 주의)
방금(PM8:47) 화장실에 갔더니
꼽등이 같은게 더듬이를 움직이면서 벽을 타고 있더라고요
파리채로 잡았어요
사진은 그 벌레의 시체인데요 ;; 일그러져서 확인이 어려우시겠지만
...곱등이 맞죠? 믿고싶지 않습니다 ㅠ ㅠ
근데 곱등이를 잡으면 연가시가 나온다고해서 긴장타고 있었는데,
다행히도(?)연가시가 나오지 않았어요. 왜죠?
이 벽은 저희집 화장실 한쪽 벽면이에요.
주택이사왔는데 이 집이 옛날집인가봐요.
한쪽이 이런식으로 돌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비오는 날이나, 샤워하고 그러면 아무래도 이 돌에 습기가 차는것같아요
집 마당에 토마토같은 식물을 많이 키우기때문에 워낙 벌레가 많은데,
이 돌때문에 더 벌레가 많은것같아요..
화장실에서 나오는 벌레들은 다 이 돌벽때문에 생기는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ㅠ
이 돌벽을 없애지 않는이상 꼽등이랑 노래기는 계속 출몰하나요 ?
요즘 벌레가 너무 커져서 미쳐버리겠어요 ㅠㅠ
꼽등이도 크기가 점점 커져가고 있고,
몇일전에는 아침에 부엌 싱크대에 돈벌레(그리마) 같은것도 발견했어요.깜짝놀랬습니다;;
바퀴벌레 비슷한 벌레는 1번 본적있고요(바퀴인지 확실히 모르겠어요)
또 엄청나게 문제를 일으키는 벌레가 2 마리 있습니다.
둘 다 날아다니는 벌레이고, 밤낮 할것 없이 자주 출몰합니다.
그중 하나는, 하루살이 또는 모기 같이 생긴 벌레인데
크기도 모기와 비슷합니다..
밝은 불빛을 좋아하는것 같고,몸이 상당히 둔해서 잡기는 쉬운데
엄청나게 번식력이 강한것 같습니다.
식물 있는곳에도 많이 있고, 주로 벽이나 천장에 달라 붙어 있는데,
휴지로 잡아서 죽이면 초록색 비슷한 피(?)가 나옵니다.
이 벌레는 무엇이죠? 해충인가요?
또 한 벌레는, 크기가 굉장히 작습니다 0.2cm 정도의 크기이고
갈색이고, 눈이 빨강색이고요,
음식물을 좋아하는것 같아요.(특히 과일)
저번에 참외껍데기 담아논 비닐봉지에 10마리정도 몰려있더라고요;;
벽이나 거울 같은데에 잘 붙어있고, 작고 굉장히 민첩해서 잡기가 힘들어요;
잡으면 빨강색깔 피(?)가 나옵니다.
이 벌레가 너무 많아요. 이 벌레가 너무 싫어요잡아도 잡아도 끝이없이 번식하는것 같습니다.
가끔 제 몸에 달라붙을때가 있는데,
피부가 예민한편이라 이 벌레때문에 가려워요 ㅠ
이 벌레는 무엇이고, 해충인지 알려주시고, 예방법들좀 알려주세요~!!
벽지도 새로하고 싱크대도 새로사고 나름 공사를 싹 하고 이사를 왔는데,
왜 이렇게 벌레가 많이 나타나는 건가요ㅠㅠ 벌레들때문에 진짜 깜짝깜짝 놀랄때가 많아요...ㅠ
답변부탁드려요~~!
1. 곱등이가 맞는지 여부
2.곱등이를 잡았는데 연가시가 나오지 않는 이유
3.돌벽을 없애지 않는이상 벌레가 계속 출몰하는지 여부
4. 모기같은 벌레의 이름, 해충 여부, 왜 우리집에 나타났는지, 예방법
5.빨간눈 벌레의 이름, 해충 여부, 왜 우리집에 나타났는지, 예방법
6.공사해서 이사온 새 집인데 벌레가 많은 이유
7. 벌레 안무서워 하는법 ㅠㅠ 좀 알려주세요...
어떻게 생각하면 덜 무서워 할수있을까요? 벌레 때문에 점점 심장이 약해지고 있는것 같아요;;ㅠㅠ
1. 꼽등이 맞습니다.
2. 모든 꼽등이에게서 연가시가 기생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연가시를 먹은 어떤 곤충이 죽었을 경우, 그 것을 먹은 꼽등이에게 다시 이동되면서 또 다시 기생하게 되는 것이지요.
(연가시를 흔히 사마귀 선충이라고 하는데, 이는 사마귀에게서 가장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3. 틈새가 많은 돌벽이라면 틈새를 통해 많은 벌레들이 침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모기 같이 생긴 녀석들이라면 깔따구로 여겨집니다.
깔따구는 추광성으로, 불 빛을 보고 달려드는 곤충 중의 한 종류입니다.
창문으로 들어오는 것이니 방충망 관리를 잘 하시면 됩니다. ^^
5.초파리로 생각되는데요..
성충이야 그냥 에어졸을 살포해 잡아내면 그만이지만 이들의 유인원 및 산란처가 어디인지 파악해 제거하고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과일과 같이 당도가 높은 것이 있다면 비닐에 싸서 단내의 발산을 최소화하시고
냉장보관이 가능한 것은 냉장고에 넣어 초파리 유인을 원천 봉쇄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가급적 뚜껑이 있어 밀폐가 되는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싱크대 개수구 역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할 때마다 제거해 초파리의 유인을 막아야 합니다.
그리고 쓰레기통만 비웠을 시 내부에 묻어 있는 유기물이 있을 수 있으니 최소 1주일에
1회는 중성세제로 내부를 닦아 내시면 초파리 유인 및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실 겁니다.
6.벌레라는것이 언제 어느 경로로 들어올지 모르는 녀석들입니다.
공사한 새집에도 벌레는 생길수 있습니다.
(음식물 관리 , 틈새관리등을 잘 하시기 바랍니다.)
7. 자신보다 덩치도 작고 힘없는 벌레입니다.
무서워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고 잘 극복 ~ 하시기 바랍니다. ^^;;
답변일 201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