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메밀벌레 발생..
  • 작성자 벌레퇴...
  • 작성일 2010.08.19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예단이불 셋트로 들어온 메밀베게를 사용하지 않은지 5년정도 되었는데
메밀베게에서 벌레가 와글와글~~. 한동안 집안에 둥글고 자그만한벌레가 보여서 이게 어디서 생기나 했더니.. 울 아들.. 이불 아래쪽보고 "엄마. 개미가 있어"라는 말에 경악을 했죠. 온갖 이불 다 틀어내고 청소기도 댕기고.
한동안 난리를 치고 베게를 열었더니 세상에 와글와글...이럴수가..
새끼들이 온 집을 정악해 버렸죠. 에프킬라 7통으로 어느정도 진정하고 옷장비우고, 모든옷 다 세탁하고 오늘부턴 이불빨래 들어갔는데. 계속 어디선가 나오는 둥글고 자그만한 벌레.. 이게 오늘보니 날아다니네요..
이걸 우찌해야 할까요? 방역을 하게되면 어찌하는지. 비용을 알고 싶어요..
=참고로 3년전 집안 화분에 의한 개미발생으로 의뢰했었는데. 한번방문으로
완전 없어져서.. 이번에도 믿어보아요.

설명해주신 내용만으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권연벌레가 발생한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권연벌레는 보관중인 곡식류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저곡해충 중의 하나로 세스코에서 퇴치 서비스를 진행하지는 않습니다.

이들은 쌀이나 곡식에 피해를 주지만 위생상으로는 특별한 질병을 옮기지는 않습니다.

죽은 척을 잘하는 특징이 있고 날아다니거나 날지 못하는 녀석들도 있습니다.

주로 생기는 곳은 오래된 쌀이나 곡물 같은 곳에서 발생하며 또한 습한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습한 곳에서도 잘 발생이 됩니다.

이 녀석을 없애기 위해서는 사는 서식지를 파악해서 박멸해야 합니다.

오래된 곡물류나 밀가루, 국수, 라면, 시리얼 등 상온에서 보관을 하는 가공식품을 한번 살펴보신다면 이 녀석들의 서식지를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찾으실 수 없다면 습기가 항상 유지되는 책상 뒤라던가 거울, 선반 등 벽과 물체가 맞닿아 있는 곳을 관찰해 보시면 그 곳에 서식을 하는 걸 볼 수 있을 겁니다.

서식지를 보시면 애벌레와 알들을 관찰하실 수 있고 대부분 화장실이나 축축한 공간에 잘 생기니 다른 곳도 한번 둘러봐주세요.

서식지를 발견하면 살충제를 뿌려주시고 모두 쓸어 담은 뒤에 습기가 차 있는 부분을 보일러를 뜨끈하게 하셔서 온도를 높여주시거나 환기를 통해서 습도를 낮춰주시고 항상 청결하고 습기에 유의를 하신다면 다시는 나타나지 않을 겁니다.

오염원을 완전히 제거했더라도 오염원에서 기어나온 유충들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당분간 유충이나 성충이 계속 나타날 겁니다.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목격 시마다 제거해야만 완전히 퇴치할 수 있습니다.


답변일 2010.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