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개미친구
  • 작성자 벌레...
  • 작성일 2010.02.02
  • 문의구분 기타문의

저희집은 주택이고 꽤나 오래된 집입니다. 그렇다고 외진곳인것도 아닙니다.
마당엔 넓다면 넓다 할수 있는 조그만 밭(?)이 있는데
여름만 되면 그 밭에서 수많은 벌레들(심지어 사마귀도 발견했음..)이 발견되는데 얘네들은 아무 문제없이 밭에서만 살아가는 놈들입니다

그런데 집에서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친구들은 연붉은색에 아주 조그만 개미인데 겨울엔 싱크대 위를 몇몇 친구들이 지나가는 것만 종종 봅니다.

하지만 여름만 되면 이 친구들이 집안 곳곳을 실크로드로 만들어 이곳 저곳을 돌아다닙니다. (최근 실크로드가 더 늘어 7군데??)

이 친구들 남은 과자 처리하는 것도 좋지만 잠잘때도 몸 이곳저곳을 물어뜯으면 잠자리가 불편해서 글 올립니다!.

이 친구들의 숫자좀 확실하게 줄여줄 방법! 부탁드려요~!


작고 붉은 빛이나 갈색 빛을 띠는 개미라면 일반적으로 가정집에 서식하는 애집개미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주성 개미인 애집개미(작고 붉은 빛의 개미)는 일반 살충제로 방제가 힘이 듭니다.

애집개미 한 군체에는 여왕개미가 수십에서 수백마리가 존재하며 일개미는 최소 4,000 ~ 40,000 마리 이상이 됩니다.

애집개미를 없애려면 단순히 약제를 설치해 이 수 많은 일개미를 잡아 내는 것이 아니라 여왕개미를 죽여야 군체가 전멸하게 됩니다.

따라서 일개미가 수집한 약제가 효율적으로 여왕개미에게까지 전달되어야만 하는 것이지요.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일개미만이 죽게되는데 먹이를 구하러 나갔던 일개미들이 상당 수 죽어 돌아오지 않을 경우에는 여왕개미가 일개미를 종전보다 더 많이 낳게 되어 일개미들이 엄청 늘어나게 됩니다.

군체 외부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일개미는 전체 군체의 10% 미만이기 때문에 일개미를 죽여도 죽여도 나머지 90%는 없어질 수 없는 것이지요.

우선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개미의 먹이원을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음식물 보관, 청소, 쓰레기통 관리는 기본이 되겠지요.

어떤 음식물이라도 반드시 냉장보관 또는 용기나 봉지에 넣어 꽉 묶어 보관하시고, 아주 작은 음식물 부스러기조차 개미가 가져가 먹이로 하지 못하도록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최대한 흡입한 후, 걸레질을 통해 남은 유기물을 제거하세요.

재활용쓰레기라 하더라도 유기물이 묻어 있는 것은 물로 세척한 이후에 건조시켜 비닐 봉지에 담아 묶어 두어야 개미가 모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싱크대 주변 및 쓰레기통 내부도 정기적으로 닦아내어 개미의 접근을 차단해야 합니다.

개미를 방제하는 방법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정말 힘든 일이기 때문에, 전문가에 의한 점검 및 적재적소에 효과적인 약제를 설치해 여왕개미까지 죽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일 201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