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소원이 있어요...
  • 작성자 소원을...
  • 작성일 2009.07.02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집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개미... 쩔어요.

문제는...

개미도 그냥 개미면 참겠는데

제가 17살인데 제 새끼손가락 반만한 크기에 놀이터에 사는 시꺼멍덩한

개미들 수십마리가 집안을 온 종일 돌아다녀요.

개미가 얼마나 많은지

딱히 빠트려 죽이려고 노력도 한적 없는데

씽크대에 빠져 죽어있질 않나

집에서 키우는 강아지 발에 끼어죽어있질 않나

스팀청소기 한번 돌렸을 뿐인데 온 집안이 개미 공동묘지가 되어있질않나

집밖 계단에 종이컵에 오라떼 애플을 35ml정도 부어서 놓으니까

하루만에 정말로 10~20마리 정도가 죽어있질않나

죽겠습니다.

그리고 개미랑 바퀴벌레랑 같이 못 산다고 들었는데

저희 집엔 바퀴벌레도 같이 삽니다.

부엌엔 초파리까지 있습니다.

죽겠습니다.

살려줘요.

제발......




PS 쓰고 보니까 왠지 뺑기같은데 절대 아니에요

왠지 내가 쓰고보니까 이건 말도 안 되는 일같은데 이게 정말

사실이라는게 정말 슬픕니다.

살려주세요.

좀.......



곤충들은 생활하는 영역권과 먹이가 다르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생활권이나 먹이가 유사하다면 영역 및 먹이 싸움이 일어납니다.

일반 가정에는 개미와 바퀴의 서식처는 비슷한 장소입니다.

따라서 두 종족이 싸워서 우위를 점하는 쪽이 수가 늘어나게 되고 패한 쪽은 다른 곳으로 밀려납니다.

그리고, 개미는 곤충의 사체를 먹는 습성이 있으므로 바퀴를 먹이로 활용도 하지요.

우리 가정이 개미와 바퀴에는 매우 넓은 생존공간이 되기 때문에 개미와 바퀴가 공존하는 가정도 많습니다.


현재 문제가 되고있는 개미는 실내서식종이 아닌 외곽서식종인 검정개미문제이시네요.

외곽서식종은 서식처가 집 내부가 아니고 외부에서 유입되기 때문에 제거하기 매우 까다롭습니다.

주로 화분 화단과 같은 흙 속에 서식하며 내부로 먹이를 찾아 유입 될 수 있습니다.

혹 집안에 화분이 있을 경우 검정개미의 서식처가 될 수 있으니 외곽으로 옮겨주시고 집 주변으로 서식처가 될만한 화단 같은 것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유입 될 수 있는 베란다 창틀쪽에 에어졸을 이용하여 미리 유입을 차단 예방 해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형바퀴(미국바퀴, 일본바퀴, 먹바퀴)인지 독일바퀴인지 알 수 없어 우선 외부침입경로를 보완하고 실내 위생관리하는 방법 모두를 말씀드리도록 하지요.

우선은 바퀴의 추가적인 침입을 막기위한 조치입니다.

출입문 틈새, 창문틈새, 베란다 홈통 틈새, 싱크대 배수구 틈새 등등 외부로 난 작은 틈새라도 실리콘, 알루미늄 호일, 포밍 등을 활용해 막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화장실 배수구는 철망으로 된 것을 구입해 교체하시거나 화장실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걸레 같은 것으로 덮어 두는 것도 좋습니다.

보완이 어느 정도 실시되면 이제는 내부관리입니다.

음식물은 바퀴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밀폐가 가능한 용기에 담거나 비닐로 꽉 묶어 두셔야 하고, 냉장보관이 가능한 것은 냉장고에 넣으시기 바랍니다.

음식물 쓰레기 역시 상단을 꽉 묶어 바퀴가 침입할 수 없도록 하고 가급적 발생 즉시 외부로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일반 쓰레기통은 주기적으로 내부를 세척해 바퀴의 먹이가 묻어 있지 않도록 하며 가급적 뚜껑이 있어 밀폐가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바퀴가 목격되는 장소 부근에 바퀴끈끈이를 설치해 이동 중인 바퀴를 포획해 밀도를 낮추는 노력을 병행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초파리..성충은 에어졸을 살포해 잡아내면 그만이지만 이들의 유인원 및 산란처가 어디인지 파악해 제거하고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과일과 같이 당도가 높은 것이 있다면 비닐에 싸서 단내의 발산을 최소화하시고 냉장보관이 가능한 것은 냉장고에 넣어 초파리 유인을 원천 봉쇄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가급적 뚜껑이 있어 밀폐가 되는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싱크대 개수구 역시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할 때마다 제거해 초파리의 유인을 막아야 합니다.

그리고 쓰레기통만 비웠을 시 내부에 묻어 있는 유기물이 있을 수 있으니 최소 1주일에 1회는 중성세제로 내부를 닦아 내시면 초파리 유인 및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실 겁니다.

답변일 2009.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