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초파리 애벌레. ㅠㅠㅠㅠㅠㅠ
  • 작성자 초파리...
  • 작성일 2008.10.19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원룸에서 자취를 하고 있습니다.
남자 둘이 사는지라 뭐 그리 깨끗하게 살지는 못하지만 나름
열심히 청소도 하고 하는데...
이눔의 초파리 애벌레들!!

평소에 초파리가 잘 보이진 않아요. 어쩌다 진짜 어쩌다 한두마리 보이는
정도인데....

밑에 글 검색하다 알게된...초파리 번데기가 쓰레기통 주위에 자주 보이더군요...

쓰레기 비우고 휴지에 물 뭍혀서 다 닦아 냈습니다.;;;

음식물쓰레기와 기타 모든 쓰레기들은 비닐에 밀봉을 했는데도 생기네요;;
냄세도 안나는데 쓰레기통 안에도 아니고 쓰레기통을 들어내 보니 쓰레기통 뒷쪽 벽과 바닥에 잔뜩;;;;

심지어는 재떨이에도 생기던데;;; 번데기가;;;

(재떨이라 해봤자 펫트병 자른거...가래침과;;;;담배밖에 없는데;;;; 담배에는 벌레가 안꼬이는걸로 아는데;;;;-혐오글 죄송;;;;-)

오히려 싱크대 거름망은 자주 비우지만 솔질 까지 해서 씻진 않는데 거기에는 없고 쓰레기통 주위에 유독 많네요..;;;
치워도 또생기고;; 이거 어떡해야 완전 박멸 되나요;;;;;;;;;;;;

아 글이 기네요. ㅠㅠ

정리하면 음식물 쓰레기는 완전 밀봉 하지만 주변에 초파리 번데기가 수두룩 하다는거구요;;;-재떨이에도-

박멸할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ㅠㅠ



초파리 한쌍이 교미 후 낳는 알의 개수는 약 500여개가 됩니다.

암컷 10마리만이 침입해 산란을 했다면 벌써 5000여개가 되는 샘이지요.^^

알에서 부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1일 이며, 유충상태로 약 4일을 지낸답니다.


주방지역에서 발생한 녀석은 음식물 쓰레기나 과일 껍데기 등에 유인이 되었을 겁니다.

음식물 쓰레기 봉지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해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 초파리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아 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초파리가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1회성이 아닌 평상시에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의 유인 및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재털이도 매일 매일 버려주시거나 또는 밀폐가 가능한 용기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오염원을 제거했다 하시더라도 위에 안내해드린 번식상태를 아셨다면..1회성 청소가 아닌 꾸준한 청소만이 제거가 가능하다는 것을 아셨지요?

앞으로도 꾸준히.. 청결을 위해 노력하시면 초파리 번데기를 보시는 일은 없을 듯 합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답변일 2008.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