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알의 정체는 ??
  • 작성자 박주현
  • 작성일 2008.07.11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저희집은 높은 지대에 있고 뒤에 산이있어서
벌레들이 가끔 들어오기는 하는데요
엄지손가락만한 바퀴멀레라던지 지네같은거요.
콩벌레 비슷한것도 보이는것같구요 ㅜㅜ
근데 벌레가 많은 편은 아닙니다.
개미도 없구요, 작은 바퀴벌레도 없어요, 파리도 별로 없구 모기두요;

근데 얼마전 욕실 수건에 이 현미쌀같이 생긴 알들이 한 백여개가
띄엄띄엄 붙어있는걸 보고 기겁해서 다 버렸는데요..
안심하고 있는데
욕실하고 떨어진 부억 구석진곳 물통 뚜껑과 몸통 틈새에서도
네다섯개의 알이 발견되었어요ㅠㅠ
이게 대체 무엇인가요ㅠㅠ
누르면 터지고 노란색 액체가 나오는걸로 봐선 알인데 ㅜ
이 알의 정체가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이 알들을 안볼까요ㅠㅠ
세스코 박사님들 ㅜㅜ
답변 부탁드려요ㅠㅠ




참깨 비슷한 것은 바로 초파리의 번데기랍니다.


초파리는 단내나 발효과정 중에 있는 유기물에 이끌려 침입하는데


욕실 수건에 그렇게 대량 산란을 했을 정도면


수건 세탁이 바로 바로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요즘과 같은 여름철에는 수건 사용 후 반드시 건조가 잘 되도록 하거나


즉시 세탁을 하는 것이 좋지요.




주방지역에서 발생한 녀석을은 음식물 쓰레기나 과일 껍데기 등에 유인이 되었을 겁니다.


음식물 쓰레기 봉지는 항상 상단을 묶어 밀봉 수준이 되도록 해 냄새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해 초파리 유인을 최소화 하시고, 가급적 그날 그날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쓰레기통의 경우 내용물만 버리고 내부는 잘 씻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은 유기물에 유인되어 날라들어올 수 있으며,


쓰레기 자체에 당도가 있는 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도 초파리가 유인됩니다.


따라서 쓰레기통도 자주 세척을 하셔야 하며,


쓰레기통은 뚜껑이 있는 것을 사용해,


항상 닫혀 있어야 초파리의 유인 및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답변일 2008.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