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주를 빨아서 놔뒀다가 들춰보니까 아빠모기 엄마모기 기타등등 모기가족들이 막 날아 나오더라고요ㅠㅠ이거 집안에서 알을 깐건가요?
2. 초파린가?파리랑 비슷하게 생겼는데 쬐끄만 애들이 막 날아다녀요. 분명 방충망 쳐져있고 출입문 열고닫을때 확인 잘 하는데 어디서 날아들어왔는지 모르겠어요. 설마 배수관을 통해 들어온건가요?
3. 얘네들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ㅠㅠ 설마 이사가야 하는건 아니겠죠?
고객님 안녕하세요.
세스코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드릴께요~~^^*
첫번째...질문의 답입니다...
모기의 행동양식은
1. 모기는 체취,CO2,체습,체열 등에 유인되어 흡혈대상은 찾습니다.
2. 습기가 있고 그늘진 곳에 특히 하수구주변, 나무 잎하단 부 그리고 화장실 등에서 휴식합니다.
3. 물이 잘흐르지 않고 고인장소를 찾아가 산란합니다.
행주를 빨아서 놓아두실때...모기가 있는 곳에 두셨거나.. 아님..
모기가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행주 안으로 들어갔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모기의 행동양식을 보시면..이해가 쪼~~끔..되시지요???
두번째...질문의 답입니다...
초파리라 하시면...초파리는 주로 과실에 알을 낳습니다.
최근에 포도를 사서 드신적이 있으신가요???
포도를 씻지 않고 방치하면 초파리의 알이 많아 얼마후
유충과 성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일파리라고 불리우는 이유도 여기 있습니다.
포도에 농약이 없다는 증거가 되겠죠. 농약이든 파리알이든 먹게 되니 흐르는 물에 잘 씻어 드셔야 합니다.
이외에도 낙엽이 모여있는 곳이나 나무 아랫부분에도 알을 낳습니다.
먹고남은 과일껍질등은 발생 즉시 비닐봉지로 완전히 밀봉하여 버려야 합니다.
발생 즉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면 더욱 좋구요.
방제방법은 약제를 뿌리는 것은 불가능하며 소극적인 방법으로는 모기향을 피우는 것도 어느정도 효과가 있습니다.
초파리가 한두마리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그냥 방치할 경우
초파리등이 냉장고나 싱크대 밑 등 유기물이 장기간 방치되어 있는 곳에
찾아들어가 서식처로 삼으며 계속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깔끔한 과일, 음식물 관리를 실천하여 초파리없는 행복한 생활하세요 ^^
날파리나 날아다니는 비래해충도
방충망의 규격이 30mesh 이상의 것이 해충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답니다.
방충망이 있다하셔도 구멍이 크거나..찢겨있거나 하면..아무소용이 없지요...
세번째...질문의 답입니다...
첫번째..두번째.. 답변을 보시고.. 이사해야 될 수도 있다는 불안한 마음이 좀 진정되셨나요?
조금만 부지런해야된다는 것이.. 답입니다.~!!!
부디 부지런한 주말.. 되세요~~~^ㅡㅡㅡㅡㅡ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