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스코 바퀴벌레 정기 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이사 온 곳에 바퀴벌레는 없는데 날파리들이 날아다녀요.
볼때마다 없애는데 어딘가서 계속 들어오는 것 같은데...
날파리 제거 서비스도 있나요?
추가비용이 얼마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김민선고객님 안녕하세요.
홈페이지를 방문주셔서 고맙습니다.
파리에는 여러좋류가 있습니다.
과실에서 생길수 있는 초파리, 화장실에서 주로보이는 나방파리,
일명 X파리로 불리는 쉬파리등...
초파리는 주로 과실에 알을 낳습니다.
먹고남은 과일껍질등은 발생 즉시 비닐봉지로 완전히 밀봉하여 버려야 합니다.
발생 즉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면 더욱 좋구요.
화장실 하수구에는 하트모양 거꾸로 한 모습을 가진 나방파리가 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하루살이로 잘못 알고 있습니다.
물이 내려가는 하수구와 화장실의 틈새가 바로 나방파리의 발생지가 되는 곳이죠...
나방파리는 물이끼(젤라틴)가 낀 곳에 산란하며 발생 합니다.
물이끼 안에 산란하게 되며 물때에 의해 알과 유충이 보호받게 되죠.
따라서 살충제를 들이 부어도 쉽게 퇴치되지 않습니다.
유충(애벌레)은 거머리 모양으로 생긴 것이 젤라틴에서 자라 번데기단계를 거쳐 성충인 나방파리가 되면 날아다니며 피해를 입히죠.
아무리 살충제를 들이 부어도 막 내부에서 서식하는 알, 애벌레, 번데기는 죽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해충이 서식하는 장소를 찾아서 솔질 청소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솔질 청소를 한 후에 살충제를 살포하면 효과를 보실 겁니다.
살충제가 없다면 락스 원액 또는 팔팔 끊는 뜨거운 물을 부어도 효과적입니다.
1회에 그치지 말고 1주일 간격으로 위 방법대로 하시면 구제가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파리가 많다고 하면
외부에서 파리가 침입을 하거나 내부에서 서식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파리가 외부에서 침입을 한다면 출입문과 창문 등
외부에서 실내로 침입할 수 있는 장소의 관리가 중요합니다.
창문단속, 문단속이 필요합니다.
2. 실내에서 파리가 서식을 하고 있다면
먼저 파리가 알을 낳는 장소를 제거하여야 합니다.
파리는 유기물이 썩는 곳(음식물쓰레기장, 동물 사체 등)에
알을 낳아서 구더기가 됩니다.
그러므로 파리를 잡는 것도 중요하지만
구더기가 살고 있는 서식 장소를 먼저 찾아내고
약제를 살포해야만 파리의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문의하신 파리종류에 대해서는 아직 별도의 관리가 진행되고 있지 않는 부분입니다.
설명 드린 곳을 잘 관리해 주신다면, 점차 없어질 것입니다.
힘드시고, 고생스러우신데 도움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