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벌레가 사는집에서 사람이 살수있나요?
  • 작성자 벌레와...
  • 작성일 2007.12.11
  • 문의구분 해충관련 문의

우리집 벌레식구들은 이렇습니다.

1.바퀴 얘들은 기본이 날라다니면서 뭘먹었는지 크기는 엄지손가락정도 됩니다. 바퀴때문에 집안에서는 아무것도 해먹지않습니다. 물은 제외^^
먹을게 없어서인지 최소한 요즘에는 눈에 띠지는 않기때문에 다행이라는생각

2.개미 피XXX 증산형분무살충제 를 요녀석들 다니는 곳곳에 한통을 다 뿌렸지만 효과없었고 어제는 여왕개미까지 박멸한다는 레이x 베이트를 여섯개 사다가 여기저기 붙여놓고 퇴근후집에 들어왔더니 집안이 온통개미천국ㅡㅡ; 개미들이 어디로 가나 싶어서 따라가보니 장판밑 바닥갈라진곳! 습기와 곰팡이 가득한 한곳에 큰개미? 여왕개미로 추정. 그리고 일개미들 수백마리쯤? 있길래 개미잡는 스프레이로 무차별 난사. 난사에 여파로 한참동안 집밖에 나가있어야 할정도. 그리고 이곳 사이트에 들어와 보니 그렇게 죽이면 안되고 더 들어난다는 말에 급좌절...개미잡던중 먼지 어쩌구 하는 해충으로 추정되는 벌레도 발견...매일저녁 개미에 먹이가 되는 심정 이해하실런지...

3. 먼지어쩌구 하는 해충 새롭게 발견한 새식구 !!
이녀석때문에 그렇게 몸이 가려웠나...자다가 개미가 또 나를 덮치고 있구나 하는 생각에 불을켜서 확인을 해보면 개미가 아니고 그냥 느낌만..개미가 나를 덮치고 있을때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을때는 먼지어쩌고 하는 녀석때문이었을것 같다는 생각...


개미와 먼지어쩌구 하는녀석들이 너무 많습니다.
화분도 없애고 음식물은 안먹고 방청소도 스팀청소기로 일주일에 한번정도는 하는데도 이녀석들 사라질 생각을 안합니다. 조금불편해도 피해만없으면 같이 살까하는 생각도 있었는데 요즘은 잠잘때도 해충때문에 자주깨고 너무 불편하네요.

저희집은 단독주택이고 제가 사용하는 공간은 혼자사용하기때문에 크지않고 방1거실1화장실1입니다.

가능하시다면 혼자해결할수있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좋겠지만
사업체이다 보니 무리한 요구 일듯싶어서 위에 말한것을 근거로 대충의 견적을 부탁합니다.
핸드폰 없는 원시인이다 보니 이메일로 답변 해주시거나 이곳 게시판에 답변남겨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1. 바퀴는 크기와 비행실력으로 봐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것으로 현재 날씨 관계로 확인이 되지 않지만 봄이 되면 또 확인이 될 듯 합니다.

창문틈 기타 틈을 막아 주셔서 이런 외주성 바퀴의 침입을 미리 미리 방지하세요.

2. 개미... 방법이 없습니다.
개미는 그 생태적 특성상(특히, 애집개미) 한 군체에서 예를 들어 100마리의 일개미가 살충제로 죽었다면 그 군체를 거느린 여왕개미가 자동으로(?) 100마리를 더 생산해내서 군체의 규모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니, 살충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해충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살충제를 뿌려도 계속 생기는 이유를 이제는 아셨을 것입니다.

그러니, 일단 해충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시는 것이 최선이고요.
발생하였을 때는 전문가를 부르는 것이 완전박멸을 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

만약 집에 있는 개미가 가장 일반적인 가주성 개미인 애집개미(작고 붉은 빛의 개미)라면 일반 살충제로 방제가 힘이 듭니다.
야외성 개미의 여왕개미가 1마리인 것에 비해 애집개미는 여왕개미가 수십에서 수백마리 이기 때문 입니다.

또한 개미는 굴 밖에서 생활하는 숫자가 전체의 10%도 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활동하는 일개미만 약제를 사용해 죽인다고 개미문제가 해결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에어졸로는 개미를 잡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합니다.


3. 먼지다듬이는..
먼지다듬이 벌레는 우리나라에선 3과가 알려져 있는 1∼7㎜의 미소 곤충입니다.
알에서 성충까지 약 1~2달 정도 소요되며 습하고 더운 곳을 선호하며 주로 미세한 균류나 곰팡이를 먹고 자랍니다.

잡식성으로 균류, 꽃가루, 마른 식물, 곡물가루 또는 곤충의 시체 등이며 실내에서 서식하는 경우는 먼지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주요 서식처로는 습한 바닥, 배관틈새, 벽 틈새, 석고보드, 오염된 목재 등에서 서식할 수 있습니다.
물론 메밀 베개 같은 것에서 서식할 수도 있습니다.

불쾌곤충(nuisance insect)으로 불쾌감, 불결감, 공포감 또는 혐오감을 주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야기하며 알러지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벌레퇴치 방법은 집안의 습기를 제거해주시고, 먼지가 많은 곳을 청소해주세요.

최대한 습도를 낮게 관리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비용은 면적에 따라 적용이 됩니다.

답변일 2007.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