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에 재학중인 주혁이라고 합니다.
갑자기 왠 학부생이 이렇게 세스코게시판에 글을 남기는지 의아해 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번에 똑같은 내용으로 홈페이지 관리자분에게 메일
을 드렸는데 답변이 없어서 이렇게 쓰게되었습니다.
저는 성균관대학교의 기계공학부 학술동아리 “SCOPE”의 일원으로 “SCOPE”는 학부생이 접근하기 힘든 유한요소해석, 모델링, 로봇, 홈페이지등 여러 분야를 공부하고 있는 동아리입니다.
(http://scope.skku.ac.kr)
이번에 논문을 작성을 하고 있는데 논문의 주제가 “개미의 행동패턴을 모방한 개체 개발”입니다. 개미의 행동패턴을 실제로 역학적인 측면에서 분석을 하여 그것을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구동하여 실제로 행동패턴대로 구현을 시키는 것입니다.
세스코는 해충방제시스템과 관련하여 연구하는 “기술연구소”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한 부서에 “생물연구부”가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정말 어려운 부탁인줄 알지만 세스코에 협조를 구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보면 해충에 속하는 “개미”라는 개체를 연구를 하는 분들의 도움을 좀 받고 싶습니다. 막연히 알려달라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최고의 전문가들이 있는 세스코분들의 조언을 얻어서 그쪽에서 짧지만 하루라도 관찰을 할 수 있다면 개미의 행동패턴을 보다 쉽게 분석할 수 있을 것같습니다.
일단 저희 쪽에는 고속카메라 장비는 있는데 개미관찰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해야 되는지도 잘 모르고 좀 애매한 것이 있습니다. 연구하시는 분들에게는 난감하고 어려운 부탁인 것이라 생각하지만, 세스코 연구소에 가서 직접 개미에 관한 조언과 관찰을 할 수 있을까요.
현재 패턴분석이 되지 않아서 확실하지는 않지만 나노튜브 액츄에이터를 써서 개미의 패턴을 구현할 예정인데 그것을 쓰게 된다면 현재 기술로는 실제 개미크기까지는 아니지만 상당히 미세한 크기의 개미까지 접근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분석과 액츄에이터 연동까지 이어진다면 실제 개미와 비슷한 패턴을 모방한 개체를 개발할 수 있는데, 이 개체는 여러가지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해충 방멸 면으로 볼 때는 이 패턴이 모방된 개체를 개미굴로 침투시켜 여왕개미가 있는 곳에 가서 약을 살포한다던지 아니면 거기서 자폭을 한다던지의 기능 또한 가능할 것입니다.
세스코분들께서 한번 시간을 내주신다면 정말 저희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정말 어려운 부탁이지만,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제 연락처는 이메일은 joohyuc@naver.com 이고 연락처는 010-8989-4526(주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세스코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