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이름을 모르는 벌레!?
  • 작성자 김선경
  • 작성일 2005.08.22
  • 문의구분 서비스 및 비용 문의

안녕하세요...몇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서 이렇게 멜을 쓰게 되었습니다.. tv광고에서는 개미,바퀴,등,,알려진 것만 나와서 저희집에 출현하는 벌레도 해충인가해서 물어볼려구요..저희집은 여주군 현수리에 단독주택인데요..시골이라서 바퀴는 보지를 못했구요..작은개미는 시부모님방에서만 쓰레기통주위에서만 간혹 몇마리 출현하구요...이것은 다른 벌레인지 해충인지 잘 모르겠지만,,밤에 거의 출현합니다..벽에 많이 있구요..바닥에도 좀 돌아다닙니다..생김새는 작은 올챙이같은 모양에 조금 기다랗구요.그렇다고 올챙이의 몸통처럼 퉁퉁한게 아니구 날씬하게 빠졌어요...크기는 아주 작은 것부터 볼펜 앞부분 검정부위 많한 것 까지 다양하더라구요..잡을려구 휴지를 대면 금새 도망가버리는데 엄청 빠르더라구요..좀 큰것을 관찰해 보니 머리부분에 다듬이 같이 두개의 선이 달려있구..다리는 안보이는 것 같아요..암튼...밤에 자다가 불킬일이 있어 불을 키면..그것들이 꽤 많이 보여서..징그러워요..아이들도..이제 8개월된 아이와 4살된 아이가 있는데.. 시골이라서 그런 벌레가 있나!!암튼 전 시집을 와서 난생처음 그런 벌레를 보게 되었답니다..아참...그리구요..저희집이 산밑이라 거미가 엄청 많거든요..거미줄을 없애도 자꾸 생기고 해서 거미줄이나 거미를 제거할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세스코입니다.

좀벌레 성충은 습씨22~32도와 상대습도50~75%가 유지되는

벽면틈새, 저장물건 하단부 등에 1~3개의 알을 매일 산란합니다.

좋은 조건에서 알에서 성충이 되는 기간은 3~4개월 정도 소요되며

성충의 수명은 3년 정도입니다.

주로 낮 기간에는 어두운 곳에서 숨어서 쉬다가 밤에 활동을 합니다.

서식장소는 모든 곳에서 생활하며

일주일 정도는 수분과 먹이를 공급받지 못해도 생존이 가능할 정도로 생명력이 강합니다.

실크,면류, 레이욘, 나일론의 면직물을 먹기도 하고

밀가루가 있는 곳에서 자주 발견되기도 합니다.

좀벌레약을 설치한다고 구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약국에서 판매하는 원터치식 에어졸이나 연막탄을 방을 밀폐한 상태에서

일주일 간격으로 3 ~ 4회 정도 사용하시면 구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거미는 주로 다른 곤충류를 섭식하는 포식자이며,이 과정에서 많은 해충을 제거하므로 익충으로 분류됩니다. 대부분의 거미들은 독액을 분비하지만 보통 인간에게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며, 대부분 야행성이며, 물린다 하더라도 벌의 독성보다 약합니다. 거미는 거미집을 만들어 먹이가 포획되기 만을 기다리는 종류와, 스스로 이동하며 먹이를 직접 포획하는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문제되는 거미류는 전자인 경우입니다.

거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살충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또한 거미줄에 알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거미줄까지 완전히 제거해야만 추가 발생되는 거미가 없어질 것입니다. 이후에는 거미가 서식할 수 있는 장소(박스 보관 창고나 구석 등)의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답변일 2005.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