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HOME 고객지원

Q&A 문의

세스코의 궁금한 부분을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으하.ㅠ
  • 작성자 유아인
  • 작성일 2005.06.25
  • 문의구분 서비스 및 비용 문의

안녕하세요;
이 글을 읽어주시는 데 정말 감사드려요;

빌라에서 살다가.
단독주택으로 이사를 왔더니.
개미가 살더라구요-_-;
그런데 제가 워낙 벌래를 무서워 하는 터라.
뭐. 빌라가기 전까지 개미는 괜찮았는데.
이제는 정말 개미도 징그러워서 안되겠어요ㅠ
심한 날은 주전자에 물을 끓여 놓았더니
거기에 까지 들어가더군요-_-;
그런거 정말 싫은데;;;

그리고 또 모기에요ㅠ
모기는 안물리는 날이 없죠ㅠ
방충망을 잘 해놔도
모기가 어디로 들어오는 건지 모르겠어요ㅠ
화장실 하수구를 타고 올라오나;;
그래서 약이나 향을 피워도
계속 물리는-_-
그래서 여름에는 잠자기 더 힘들 것 같아요~~
어떻게 되는 거죠;;
시험기간인데..
이렇게 벌래들 때문에 짜증이 나니;;;;

우리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살충제인데 바퀴는 살충제에 대한 강한 내성이 형성되고, 더욱이 개미는 그 생태적 특성상(특히, 애집개미) 한 군체에서 예를 들어 100마리의 일개미가 살충제로 죽었다면 그 군체를 거느린 여왕개미가 자동으로(?) 100마리를 더 생산해내서 군체의 규모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니, 살충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해충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살충제를 뿌려도 뿌려도 계속 생기는 이유를 이제는 아셨을 것입니다.
그러니, 일단 해충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시는 것이 최선이고요..
발생하였을 때는 전문가를 부르는 것이 완전박멸을 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모기의 행동양식은
1. 모기는 체취,CO2,체습,체열 등에 유인되어 흡혈대상은 찾습니다.
2. 습기가 있고 그늘진 곳에 특히 하수구주변, 나무 잎하단 부 그리고 화장실 등에서 휴식합니다.
3. 물이 잘흐르지 않고 고인장소를 찾아가 산란합니다.

대부분의 모기는 실외에서 발생하여 실내로 침입을 하나
지하집모기라고 하는 종은 실내의 지하실, 정화조 등에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문의하신 해충이 지하집모기는 아닐 것으로 판단됩니다.
해충은 외곽에서 서식하면서 실내로 침입을 하므로 외곽의 해충서식처를 제거하는 것이 근본적인 대책입니다.

고여있는 물을 제거하는 것이 모기와 깔다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정집에 있는 방충망으로는 작은 해충의 침입까지는 막을 수 없습니다.
(방충망의 규격이 24mesh 이상의 것이 해충의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방충막의 틈새에 해충기피제나 에어졸 등의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테이프 등으로 틈새를 막으시면 어느 정도의 해충 침입은 막을 수 있고,
브라이드, 커텐 등으로 실내의 조명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고객님 궁금하신 내용은 해결이 되셨나요? 좀더 자세한 문의는 세스코 고객센터 1588 - 1119 로 연락 주시면 친절히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고객님~ 항상 행복하세요~

답변일 200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