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건 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총 80건)
-
Q. 자동이체 이체일은 언제인가요?
A. 자동이체 정기결제일은 20, 23, 25, 27일 이며 잔액부족 시 수시로 재청구가 진행 됩니다. 이체일이 휴일인 경우는 익영업일(평일)에 출금됩니다. 자동이체 결제 약관에 따라 지정된 결제일에 출금이 되지 않은 경우 ㈜세스코의 청구 스케쥴에 따라 재출금 될 수 있습니다.
-
Q. [다이렉트 렌탈] 주문 취소는 어떻게 하나요?
A. 상품문의 또는 고객센터로 취소 요청을 해주시면 취소 처리 도와드리겠습니다. 상품문의: MY세스코 > 활동정보 > 상품문의 고객센터: 1588-1119 전화를 통한 문의
-
Q. 빈대를 퇴치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A. 빈대는 흡혈이 일어나기 전까지 유입을 알기 어려운 ' 방제 난이도가 가장 높은 해충 ' 입니다 . * 세계방역협회 ' 해충별 , 지역별 방제 난이도 ' 기준* 최근 해외여행 증가와 함께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 2013 년부터 최근까지 국내 빈대 발견 수는 약 7.2 배 증가하였습니다 .* CESCO 과학연구소 Big Data 분석 결과* 빈대는 불특정 다수의 가방과 옷 등을 통해 수시로 유입되나 즉시 확인이 어렵고 , 빈대는 2 마리를 시작으로 90 일 후 성충 302 마리 , 알 970 개로 확산속도가 빠릅니다 . 다른 보행 해충과는 다르게 셀프 방역과 초기 대응도 어려워 전문가의 사전 진단과 정기 모니터링으로 선제 대응을 해야합니다 . 빈대가 있다고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바로 전문가의 진단과 조치를 받는게 가장 빠르게 빈대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
Q. 카드 결제일은 언제인가요?
A. 카드 정기결제일은 18, 27일 이며, 정기결제일이 휴일인 경우는 익영업일(평일)에 결제 됩니다. 카드 결제 약관에 따라 지정된 결제일에 미승인 된 경우 ㈜세스코의 청구 스케쥴에 따라 재승인 될 수 있습니다.
-
Q. 빈대가 있는지 알고 싶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A. 집 또는 공동 숙박시설에 빈대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매트리스, 프레임, 소파, 책장, 침구류 등 틈새 확인하고 다음 빈대의 무산물 및 배설물과 같은 흔적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노린내 또는 곰팡이 냄새가 나는 지점 확인합니다. 그러나, 밤과 새벽에 기어나와 흡혈하고 , 낮시간은 어두운곳에 숨어 지내는 빈대의 습성때문에 셀프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단서비스를 이용하여 추가 확산을 미리 방지 하시기를 추천합니다 .
-
Q. 홈페이지에서 서비스요금을 납부 했는데, 자동이체도 출금이 되었습니다(또는 카드 승인이 되었습니다).
A. 서비스요금을 자동이체 또는 카드로 정기 결제하고 계신 경우 이체일 1~3일(영업일 기준) 전에 홈페이지에서 납부를 하시면 이중으로 납부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고객님을 담당하는 고객센터 (1588-1119)으로 연락 주시면 환불 처리를 도와드리겠습니다.
-
Q. [다이렉트 렌탈] 렌탈과 서비스의 차이가 뭔가요?
A. 구입 유형이 렌탈인 경우, 계약기간 동안 상품 및 정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계약기간 이후 소유권이 이전됩니다. 구입 유형이 서비스인 경우, 계약기간 동안 계약된 장소에 정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품의 소유권은 세스코에 있습니다.
-
Q. 미납분 서비스요금의 납부 방법을 알려주세요.
A. 세스코 홈페이지 > 마이페이지 > 로그인 > 고객코드인증(최초1회) > 서비스요금조회/납부 메뉴에서 납부가 가능합니다. ※ 마이페이지 > 멤버스계약정보 > 멤버스인증/관리 에서 고객코드찾기, 고객코드인증이 가능합니다.
-
Q. 바퀴는 잡식성으로 사람의 피부 각질까지도 먹습니다.
A. 바퀴는 일반적인 음식물 및 찌꺼기 뿐만 아니라 사람과 동물의 배설물, 피, 화농물, 객담 그리고 쓰레기 등을 섭식합니다. 사람의 머리카락 심지어는 피부각질까지도 먹이로 이용합니다. 또한 동료의 변이나 자신의 변을 먹기도 하고 죽은 바퀴의 사체를 뜯어 먹기도 합니다.
-
Q. 바퀴는 알레르기성 질환 및 전염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A. 바퀴의 배설물 또는 탈피한 껍질 등은 부서져 미세한 입자로 먼지 중에 떠다니다가 알레르기 체질인 사람의 피부, 기관지 등에 접촉하여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부분적으로 소화된 물질을 토해내는 습성과 다리의 극모, 털에 박테리아, 바이러스, 각종 기생충 등 병원균을 묻혀 식중독을 비롯한 100여종의 병원체를 매개하여 전염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